[프라임경제] 반도체 주 소비국인 중국 경제의 역풍에 밀려 지난해 산업용 반도체시장이 소폭 성장에 그쳤다.
시장조사기관 IHS는 산업용 반도체 시장은 세계적인 경기 불황에도 2013년 9.8%, 2014년 11.5% 등 높은 성장세를 보였지만 지난해는 1%도 채 성장하지 못한 419억달러를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이에 대해 로비 갈로소 IHS Technology 부디렉터는 "하락하는 국제 유가와 산업용 반도체 주소비국인 중국의 경제 불황이 맞물려 발생한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산업용 반도체 시장의 미미한 성장은 다년간의 탄탄한 성장 이후에 발생한 결과이기에 실망스럽긴 하지만 희망은 보인다"며 "산업용 시장은 2015년 힘든 상황에서도 버텨냈고 현재 모든 조짐은 앞으로의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중국의 경기 불황에도 산업용 반도체 시장은 미미하게나마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해 미국 경제의 점진적 성장으로 산업용 전자기기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IHS 산업용 반도체 지능형 서비스'에 따르면, 산업용 전자기기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만큼 산업용 반도체시장 또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CAGR) 8.4%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지난해 반도체 선도 기업의 인수합병이 이어지며 산업용 반도체 업계에 지각변동을 일으켰다. 산업용 반도체 분야 선두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가 유지했으나,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2위에서 4위로 하락했다. 이 틈을 타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와 인텔이 각각 2위와 3위로 뛰어올랐다.
특히 NXP의 급성장이 눈에 띤다. NXP는 지난해 프리스케일을 인수하며 산업용 반도체 분야 16위에서 7위까지 올랐다.
갈로소 부디렉터는 "지난해 반도체시장은 기록적인 수준의 인수합병 건수를 보였으며, 그로 인해 산업용 반도체 선두 기업들이 영향을 받았다"며 "전략적 인수 활동은 앞으로 핵심 산업용 반도체 시장의 순위 변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