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컨택센터 기반의 CRM 전문기업 ㈜엠피씨(대표 조성완)는 지난 27일 국민권익위원회와 비긴급신고전화 상담센터를 수주했다고 30일 밝혔다.
계약금액은 약 20억원으로 앞서 지난 3월 체결한 비긴급신고전화 상담센터 임대서비스 계약과 더불어 운영 서비스도 엠피씨가 맡게 됐다.
올해부터 모든 신고전화는 긴급 신고와 비긴급 신고로 구분된다. 최근까지 112, 119 신고전화뿐만 아니라 122(해양사고), 117(학교폭력) 등 20개가 넘는 신고전화의 수가 운영되고 있어 국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있었다.
올해 초 국민안전처에서 국민 1000여명에게 실시한 설문조사에도 응답자의 80%가 신고전화 수가 '너무 많다'는 의견이었으며, 신고전화 수를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 약 90%로 국민 대다수가 신고전화 통합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의견을 반영해 우리나라도 올해 미국의 911처럼 범죄관련 긴급신고는 112로 통합 운영되고, 긴급한 재난과 구조신고는 119로 통합됐다.
이외 긴급출동이 필요하지 않은 각종 생활민원이나 일반민원 등의 상담전화는 110으로 단일화해 국민들의 편의를 높이고 효율성을 극대화해 운영키로 했다.
엠피씨가 수주한 계약은 비긴급상담전화 110으로 범죄(112), 화재(119) 외 비긴급 공공기관 문의에 대한 기관연계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계약 기간은 다음 달부터 2018년 12월31일 까지다.
이번 신규 수주로 엠피씨는 약 130명의 인력을 추가로 채용하게 됐다. 올해 신규 계약을 통해서만 약 700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해낸 셈이다.
엠피씨는 신규 채용하는 130여명 직원 모두를 정규직으로 고용하고 특정 나이, 성별, 경력 등에 차별 없이 취업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 경험이 필요한 이에게는 기회를, 경력단절 여성에게는 일과 가정생활을 병행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방침이다.
엠피씨는 올해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SH공사 △한국전력공사 △경기신용보증재단 △120경기도콜센터 △행정공제회 △국민권익위원회 등 다수의 공공기관들과 신규계약을 체결했으며, JDC면세점을 비롯해 10여개의 다양한 산업 군의 기업과도 신규계약을 체결했다.
조성완 엠피씨 대표는 "올해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펼친 결과, 주력사업인 컨택센터 아웃소싱 사업에서 다수의 신규계약을 체결하게 됐다. 앞으로도 차별화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업계 리딩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