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롯데껌은 1967년 회사 설립 때부터 이달까지 49년간 생산, 판매한 제품의 누적 매출이 약 4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금액을 쥬시후레쉬로 환산하면 300억통가량이다. 이를 일렬로 늘어놓으면 1320만㎞로 지구 둘레를 330바퀴 돌 수 있는 양이 된다.
또 이를 낱개로 환산하면 약 2000억매가 되는데 이는 지구촌 전체 인구 73억5000명이 27회 정도 씹을 수 있는 거대한 양이기도 하다.
최초의 롯데껌은 1967년 선보인 △쿨민트껌 △바브민트껌 △쥬시민트껌 △페파민트껌 △슈퍼맨 풍선껌 △오렌지볼껌 6종이다.
롯데제과는 이들 제품을 통해 그해 3억8000만원의 매출 실적을 거뒀다. 당시 껌 가격이 2~5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결코 적은 실적이 아니다.
이후 1972년 롯데제과는 현재 국내 껌시장에서 최장수 제품으로 알려진 쥬시후레쉬, 후레쉬민트, 스피아민트 3종을 개발, 판매하기 시작했다. 해당 3종 껌은 당시 크기, 볼륨 등이 기존 껌과 비교해 월등히 컸기 때문에 껌시장에서 '대형껌 3총사'라고도 불렀다.
이 대형껌은 한국인의 △구강 구조 △턱 강도 △입맛 등 인체공학적 설계에 따라 개발된 제품들이다.
2000년대 들어 롯데제과는 충치예방 효과와 단맛이 뛰어난 자일리톨껌을 선보이며 '제2도약'에 나섰다. 자일리톨껌은 기존의 껌 형태와 포장 구조를 완전히 새로운 스타일로 전환하며 획기적인 제품으로 평가 받았다.
자일리톨껌 판매가 정점에 달한 2002년에는 매출이 1800억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현재 롯데껌 연매출은 1500억원가량. 지난 3년간 1400억원대를 유지하던 롯데껌 매출이 지난해부터 다시 살아나고 있다. 껌 씹기가 치매 예방, 집중력 향상, 수술 후 회복 등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보고가 이어짐에 따라 인식 전환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롯데껌은 지난해 껌시장에서 80%에 근접한 점유율을 기록하며 국내 껌 시장을 이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