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국내 70개 인권시민사회단체가 오는 30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제66차 유엔 NGO 컨퍼런스(UN DPI/NGO conference)' 결과문서 중 '새마을운동' 단락에 대한 우려를 유엔 NGO 컨퍼런스 사무국에 전달했다.
유엔 NGO 컨퍼런스는 유엔 공보국에서 매년 주최하며 세계 각국의 시민사회·외교관·유엔 관계자·과학자·교육자·기업·국회·각국 정부 관계자들과 만나 그해 주요한 이슈들을 심도있게 논의하는 자리다.
올해 제66차 유엔 NGO 컨퍼런스는 '세계시민교육: 유엔 지속 가능한 발전(SDG) 목표 이행을 위한 협력'이라는 주제로 아시아 최초로 경상북도 경주에서 개최되며, 전 세계 1000여개 NGO단체가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NGO 컨퍼런스는 회의 결과로 발표될 결과문서 초안에 대한 의견을 온라인을 통해 받고 있다. 70개 인권시민사회단체들은 이중 새마을운동에 대한 단락이 편향적이고 일방적인 평가로 이뤄져 있으며 이에 삭제되는 것이 마땅하다는 의견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결과문서 초안은 새마을운동이 '농어촌과 도시 지역 간의 경제적 및 사회 기반적 격차를 줄이는 데에 영향을 끼친 모범적인 시민운동'이자 '보다 평등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한 운동이라고 설명하면서 '새마을 운동을 빈곤퇴치와 개발의 모델로 제안'하고 있다.
이에 70개 인권시민단체들은 이러한 설명은 새마을운동이 실제는 국가 주도로 진행됐으며, 획일적인 국가주의와 집단주의 등을 강조해 독재정권 유지를 위한 동원과 통제 체제로 기능했다는 평가가 있음을 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유엔이 채택하는 문서에 이처럼 논쟁적인 사안에 대한 매우 편향된 평가만 반영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 이번 유엔 NGO 컨퍼런스가 경주에서 열리고 개최국인 한국 정부의 의견만 반영했다는 것이 인권시민단체의 주장이다.
70개 인권시민사회단체들은 "이번 새마을운동과 관련된 우려의 목소리는 유엔 NGO 컨퍼런스뿐 아니라 1000여개 국제 시민사회단체들에게도 전달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