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유연근무제가 하나의 제도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해 공기업 임직원 5명 중 1명은 유연근무를 실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연근무제'는 근로자들이 전형적인 근무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일하는 시간을 유연하게 선택하고 나아가 근무 장소도 유연하게 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의 근무 규정과 제도를 말한다.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30개 공기업(준정부기관·기타공공기관 제외)의 '2015년 유연근무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기업 임직원들이 유연근무제를 잘 활용하고 있었다.
자세히 살펴보면, 지난해 기준 조사대상 기업의 비정규직 및 파견직을 제외한 정원은 10만6022명이었으며, 이들 중 21.3%인 2만2563명이 유연근무제도를 활용하고 있었다.
조사대상 공기업의 유연근무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 2011년 총 유연근무자 수는 2740명이었지만 △2012년 5860명 △2013년 1만1384명 △2014년 1만6743명 △2015년 2만2563명으로 2012년부터 매년 5000명가량 늘었다.
직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유연근무는 '시차출퇴근형 탄력근무제'가 1만4438명으로 전체 유연근무자의 64%에 달했다. 특히 '시차출퇴근형 탄력근무제' 이용자수는 지난 2011년에는 2043명에서 2015년 1만443명으로 4년만에 무려 1만2000명 증가했다.
그 다음으로 많은 유연근무는 근무시간선택형 탄력근무제로 유연근무자의 22.6%인 5107명이 이용했다. 차순위는 △시간선택제 1657명 △스마트워크근무형 원격근무제 784명 △집약근무형 탄력근무제 410명 △재택근무형 원격근무제167명 등이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문화가 점차 확산되면서 유연근무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며 "현재 공기업과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지만 아직까지 일반 기업의 도입은 저조한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개인의 능률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제도인 만큼 더 많은 기업이 시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현재 공기업의 유연근무제도는 일정 기간 근무시간을 줄여 일하는 '시간선택제(채용형·전환형)', 출퇴근시각을 조정하는 '탄력근무제', 자택 등 원하는 곳에서 근무하는 '원격근무제' 등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또 '탄력근무제'는 다시 △시차출퇴근형 △근무시간선택형 △집약근무형 △재량근무형 네 가지로 나뉜다. '원격근무제'는 △재택근무형 △스마트워크형의 두 가지로 나눠져 '시간선택제'를 포함해 총 일곱 가지 유연근무를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