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카카오(035720·대표 임지훈)는 올 2분기 내 대리운전 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 정식 론칭을 앞두고 대리운전 기사회원과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카카오는 지난달 27일부터 카카오드라이버 기사용 앱을 통해 대리운전기사가 운행 중 겪었던 어려움과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접수 중이다. 카카오는 사흘 만에 700건 이상의 사연이 접수됐다고 집계했다.
기사와 승객 모두가 보다 편리하고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드는 데 참고하기 위한 작업이라는 설명이다.
앞서 3월 초 카카오는 카카오드라이버 기사용 앱 출시 후 앱 내의 '문의하기 기능'을 통해 전국의 기사회원들의 궁금증이나 우려를 받아 개별답변 또는 공식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 외에도 지난 3월30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대리운전노동조합, 한국대리운전협동조합과 각각 '카카오드라이버 파트너십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양 기사단체와 카카오드라이버 자문협의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자문협의회는 기사회원을 위한 정책 수립 등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카카오와 소통하는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아울러 대리운전기사 대상 간담회를 전국 주요 도시로 확대 개최하는 등 오프라인 소통도 강화할 계획이다.
정주환 카카오 O2O·커머스 사업부문 총괄 부사장은 "카카오드라이버의 등장으로 대리운전 업계의 불합리한 관행이 개선되는 움직임을 보이는 등 앞으로도 시장에 많은 긍정적인 변화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어 "투명한 사업 운영을 통해 대리운전 서비스를 제도권내 서비스 산업으로 발전시키고 대리운전 종사자에 대한 인식을 한단계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카카오드라이버는 지난 3월 7일 기사용 앱 출시와 함께 일부 운영 정책을 발표하고 현재 기사회원 등록 절차를 진행 중이다. 배차 시스템, 수수료율 등 기존 업계의 불합리한 관행을 없애고 대리운전 보험료를 부담하는 등 종사자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 하는 정책을 내걸었다.
카카오드라이버는 추후 사내 임직원을 대상으로 최종 테스트를 거쳐 2분기 중 승객용 앱 출시와 함께 공식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