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우리나라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 '유커'의 증가와 함께 중국어 아르바이트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이 자사 사이트에 등록되는 아르바이트 채용공고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중국어 가능자'를 우대하는 알바 공고가 약 11.4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알바몬이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간 1분기에 등록된 채용공고를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등록된 전체 아르바이트 공고수는 149만1451건으로 2012년 같은 기간보다 1.7배 증가했다.
이에 알바몬은 전체 알바 일자리에 비해 '외국어가 가능한' 구직자를 위한 알바 일자리는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즉 전체 알바 공고가 1.7배 증가하는 동안 일본어 가능자 우대 알바는 3.5배, 영어 가능자 우대 알바는 5.5배 증가한 것이다.
특히 중국어 가능자 우대 알바는 지난 2012년 1분기 4381건에 불과했지만 올해 1분기에는 총 3만315건으로 5년새 무려 11.4배 증가했다.
이영걸 이영걸 상무는 "과거 외국어를 채용조건으로 내세우는 알바는 통·번역, 자료조사 등 일부 직무에 그쳤으나 한류 열풍 이후 유커 등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 방문이 증가하면서 △매장관리 △서비스 △판매 △서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외국어가 가능한 아르바이트생을 우대 채용하려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전체 외국어 가능자를 우대하는 알바 공고에서도 일본어가 큰 폭으로 줄고 중국어가 증가했다. 2012년에 29.5%에 이르던 일본어 알바의 비중은 17.3%로 12%P가 줄어든 반면 중국어 알바의 비중은 2012년 17.9%에서 2016년엔 34.2%로 5년새 2배 이상 크게 늘었다. 영어 가능자에 대한 알바 수요는 여전히 높아서 2012년 52.6%에서 올해는 48.6%로 소폭 줄었다.
또한 중국어 등 외국어가 가능한 경우 다른 구직자 보다 쉽게 채용될 수 있는데다 같은 일을 하더라도 보다 높은 급여를 받을 기회도 종종 주어진다.
실제 지난 4일 알바몬에 게재된 명동 일대의 매장관리·판매 알바의 평균시급을 조사한 결과 일반 매장관리·판매 알바의 시급은 6960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우대조건으로 '중국어 가능자'를 내세운 경우 같은 명동 일대 매장관리·판매 알바의 급여가 평균 500원 가량 높은 7434원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