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2005년 출간한 저서 '하류사회'에서 저자 미우라 아츠시는 현대 사회가 '중산층에서 상류층으로 올라가는 사람'과 '빈곤층으로 떨어지는 사람'으로 양분됐다고 주장했다.
또 그로 인해 계층별 소비 행동, 라이프스타일, 가치관의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확대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렇다면 10년이 지난 현재, 일본 사회는 어디에 와 있을까.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저자는 미츠비시 종합 연구소가 매년 3만명을 대상으로 하는 '생활자 시장 예측 시스템' 조사결과와 그 응답자 중의 1000명에게 실시한 '하류사회 10년 후 조사' 결과를 분석했다.
과연 현대 사회는 어떻게 변했을까. 조사결과로 드러난 현실은 믿기 어려울 정도다. "생활수준을 상 중 하로 구분할 때, 당신은 어디에 속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상'을 선택한 사람이 13% '중'이 36% '하'가 43% '모른다'가 7%라는 놀라운 결과가 나왔다.
중산층보다 빈곤층이 훨씬 많다는 결과가 나온 것인데, 이것은 일본의 1960년대 상황과 비슷하다.
실제로 점심은 400엔의 편의점 도시락으로 때우는 직장인들이 늘어났고, 외출할 경제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스마트폰이 여가 생활의 중심이 됐다.
경차와 중고차의 판매가 급증하는 반면, 수입 고급차의 인기는 사그라지지 않는 양분화 현상이 두드러진다. 모두가 '언젠가 국산 중형차를 사겠다'는 꿈을 가지던 시대는 사라진 것이다.
금융 자산 보유 실태를 보면, 상위 9%가 전체 자산의 59%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금융 자산이 300만엔(약 3000만원) 미만인 사람들은 인구의 49%에 달하지만 자산 비율은 단 4%에 불과했다.
빈곤층의 계층상승은 거의 이뤄지지 않는 한편, 상류층의 계층하락은 두드러졌다.
계층을 상, 중, 하 3단계로 구분할 때, 2005년에 '하'에 속했던 71%가 10년후에도 제자리에 머물러 있지만 '상'이었던 사람 중에 '중' 이하로 하락한 사람은 43%에 달했다.
이 책은 흙수저, 금수저로 대표되는 새로운 계급사회가 현실화되는 실태에 대한 신랄한 분석이다. 그리고 심도 있는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현실을 직시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발걸음을 때는 것은 현대인들의 몫일 것이다. 세종연구원이 펴냈고 가격은 1만3500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