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수명이 매우 짧아 인간이 통제 불가능했던 분자의 반응시간 영역을 1만분의 1초까지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한일 공동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김동표 교수(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은 미래부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지원 하에 일본 준이치 요시다 교수(코토대학교) 연구팀과 관련 내용을 공동 연구했다.
이번 연구에 대해 연구팀은 사납게 날뛰는 야생마 무리들을 붙잡아 길들이는 것처럼, 수명이 매우 짧아 다루기 어려운 분자들을 신속하게 붙잡아서 원하는 반응을 일으키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1만분의 1초 내에 초단수명 반응중간체의 형성과 활용반응을 순차적으로 일으켜 분자물질의 다양한 변화가능성을 억제하고 통제할 수 있는 연구라고 규정했다.
김 교수는 "새로운 화학공학 기술인 미세반응기로 분자 반응시간 영역을 1만분의 1초까지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해 향후 고순도의 화학약품(의약품, 천연물)을 합성을 통한 경제적인 신약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의의를 전했다.
한편, 연구 결과는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온라인판 이달 6일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