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전·현직 대통령 호감도 여론조사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이 39.2%의 지지를 얻어 26.9%에 그친 박정희 전 대통령을 12.3%p 앞서며 계속 선두를 달렸다.
뒤를 이어 김대중 전 대통령 15.0%, 박근혜 대통령 8.0%, 이명박 전 대통령 2.5%, 김영삼 전 대통령 2.3% 순이었고 무응답은 6.0%.
총선 직후인 지난 4월20~21일 조사 대비 노무현 전 대통령은 '39.1→39.2%'로 0.1%p, 김대중 전 대통령은 '13.8→15%'로 1.2%p, 박근혜 대통령은 '6.5→8.0%'로 소폭인 1.5%p 올랐다. 이에 반해 박정희 전 대통령은 '29.4→26.9%'로 2.5%p, 김영삼 전 대통령도 '3.9→2.3%'로 1.6%p 하락했다.
오는 23일 서거 7주기를 맞는 노무현 전 대통령은 남성(37.4%), 여성(41.1%), 19/20대(50.8%), 30대(64.1%), 40대(52.0%), 서울(37.3%), 경기·인천(39.8%), 충청(37.7%), 호남(42.9%), 부산·울산·경남(40.0%), 강원·제주(48.4%), 더민주(67.1%), 국민의당(35.8%), 정의당(72.4%) 등에서 1위였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50대(39.3%), 60대(49.3%), 70대(48.0%), 대구·경북(40.2%), 새누리당(55.5%), 무당층(31.8%) 등에서 앞섰다.
노무현·김대중 전 대통령 지지율 합은 54.2%로, 박정희·박근혜·김영삼·이명박 네 명의 전·현직 대통령 지지율의 합 39.7%보다 14.5%p나 더 높아 눈길을 끌었다.
이런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는 20대 총선 직전인 4월6일보다 6.8%p 급락한 26.1%, 부정평가는 6.6%p 급등한 62.5%로 부정평가가 2.4배인 36.4%p나 더 높았다.
박 대통령 직무수행 지지도 26.1%는 지난 2015년 1월말 십상시 파문 당시 26.0%를 기록한 이래 최저치다. 무응답은 11.4%.
직무수행 긍정평가는 △70대(잘함 54.9% vs 잘못함 32.0%)와 △새누리당(61.9% vs 23.9%) 지지층에서만 부정평가를 웃돌았다.
반면 △남성(잘함 26.4% vs 잘못함 64.1%) △여성(25.8% vs 60.8%) △19·20대(12.2% vs 82.6%) △30대(13.6% vs 74.5%) △40대(17.8% vs 72.2%) △50대(32.8% vs 53.1%) △서울(23.8% vs 65.9%) 등의 결과가 나왔다.
또 △경기·인천(22.3% vs 64.6%) △충청(35.7% vs 55.1%) △호남(12.0% vs 80.2%) △부산·울산·경남(31.9% vs 53.6%) △강원·제주(28.3% vs 66.6%) △무당층(29.4 % vs 50.7%)에서는 부정평가가1.5~6.8배나 더 높았다.
특히 박 대통령의 견고한 지지기반이었던 60대(잘함 41.7% vs 잘못함 42.0%)와 대구·경북(35.8% vs 51.2%)에서도 부정평가가 더 높았다. 이에 대해 총선에서 확인된 민심을 반영해 국정운영 기조를 바꾸지 않을 경우 레임덕이 가속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편 이 조사는 지난 4월30일부터 5월1일까지 이틀간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대표 안일원)'가 전국 만19세 이상 휴대전화가입자 1453명에게 컴퓨터자동응답시스템을 이용 임의걸기(RDD)로 진행했다.
오차보정은 지난달 말 현재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비례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2.6%p(응답률 7.8%)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리서치뷰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