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경상대학교병원 의료진에 의해 '위산 역류증이 편도비대'를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라는 사실이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경상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우승훈 교수 연구팀은 '위산 역류증이 편도비대'를 유발한다는 논문을 최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저널인 PLoS ONE지에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논문은 위산 역류 시에는 위산과 함께 소화효소 중 하나인 펩신(Pepsin)이 같이 역류하고, 이렇게 역류된 펩신은 편도의 방어막을 손상시키면서 편도 안으로 함입돼 염증을 유발한다는 연구내용이다.
또한 펩신에 의한 편도염증반응은 성인보다 소아에서 더 두드러진다는 사실을 밝혀내 학회에 이목을 모으고 있다.
그동안 세균감염이 편도 비대의 유일한 원인으로 알려져 편도비대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항생제를 반드시 사용해야 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항생제 치료를 대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우승훈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약 3만~4만명 정도가 편도 질환으로 수술을 받고 있고 이 중 80% 이상은 10세 미만의 소아환자라"라고 설명했다.
이어 "10세 미만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는 위산 역류를 유발하는 고지방 음식, 카페인 함유 음식, 초콜릿 등을 과대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부모의 식생활 지도가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또한 "야식과 과식, 식후 바로 눕는 습관 등이 위산 역류 유발을 통해 편도비대를 일으킨다"며 주의를 바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