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복당 절차' 이해찬, 더민주 역학구도 흔들리나

전당대회 대진표 윤곽 親盧의 선택은?

이금미 기자 기자  2016.04.19 18:08:53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이해찬 복당, 김종인 사과?'

4·13 총선에서 7선 고지에 오른 이해찬 전 국무총리가 19일 더불어민주당에 복당 신청서를 제출, 당 복귀 절차에 들어갔다.

이에 총선 공천 과정에서 갈등을 빚은 이 전 총리와 김종인 비상대책위윈회 대표가 관계를 회복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이 전 총리는 지난 공천 과정에서 김 대표가 '정무적 판단'을 이유로 공천에서 배제하자 탈당을 결행, 세종시에 무소속 출마해 당선됐다.

이 전 총리의 복당 문제는 그가 친노(親盧·친 노무현) 진영의 좌장이라는 점에서 당내 역학구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 전 총리는 탈당과 동시에 '당선 뒤 복당'을 시사했으며, 당선 직후에도 "곧바로 당에 복당해 정무적 판단으로 공천을 배제한 김종인 대표에게 세종시민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겠다. 복당하면 당의 중심을 바로잡고 정권교체에 힘을 보태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와 관련, 김 대표는 "복당 절차가 있으니 거기에 따르는 수밖에 없다. 정치적으로 판단할 이유가 없다"는 원칙론을 내놓은 바 있다.

김 대표는 이 전 총리의 사과 요구에 대해서도 "정무적 판단에 대해 사과하는 사람이 어디 있느냐"고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당헌당규에 따르면 탈당한 사람은 탈당한 날부터 1년이 경과하기 전에는 복당할 수 없다. 하지만 중앙당 당원자격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당무위원회가 의결하면 복당이 가능하도록 예외조항을 뒀다.

결국 김 대표의 결정이 중앙당 당원자격심사위 심사 과정에서 중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당 안팎에서는 김 대표가 이 전 총리의 복당에 부정적이라는 견해가 적지 않은 반면, 친노 진영을 중심으로 이 전 총리의 복당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자천타천 김 대표가 차기 당권 후보로 거론되는 상황과 맞물리면서 친노 진영의 움직임이 당권 경쟁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김 대표 측은 총선 승리를 견인한 김 대표의 역할을 강조하며 '합의추대론'에 힘을 싣는 분위기다. 하지만 정세균 전 대표, 박영선 전 원내대표, 송영길 전 인천시장, 김진표 전 의원, 정청래 의원 등 당권 경쟁에 뛰어들 후보군 윤곽이 드러나면서 합의추대론은 물 건너간 모양새다. 

이번 총선을 통해 대거 살아서 돌아온 친노 진영이 이 전 총리 복당 문제부터 당권 경쟁까지 어떤 식으로 풀어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