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현대차가 '커넥티드카'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한다. 현대차는 미래 커넥티드카 개발을 위해 네트워크 장비와 솔루션을 공급하는 정보통신 분야(ICT) 글로벌 리딩기업 '시스코(Cisco)社'와 협업한다.
현대차는 19일 서울 양재 본사 사옥에서 정의선 부회장과 척 로빈스 시스코 CEO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상호 협력을 통해 커넥티드카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차량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현대차의 이번 협력은 각 분야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글로벌기업과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방식 협업을 통한 커넥티드카 플랫폼 확보 전략의 일환이다.
현대차는 이를 통해 차량 내부 데이터 송수신 제어를 위한 차량 내 초고속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또 양사는 다양한 가상 '커넥티드카 모의 테스트 프로젝트'도 함께 진행한다.
'차량 네트워크 기술'은 차량 내부에서 이뤄지는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현 단계 자동차는 제어할 데이터양이 많지 않아 소용량 저속 네트워크가 적용됐지만, 커넥티드카의 경우 제어장치는 물론, 송수신 데이터양도 방대하게 증가한다. 각종 데이터 실시간 전달도 필수적인 만큼, 차량 내 초고속 연결망 구축도 필요하다.
현대차 커넥티드카 기초 인프라 '차량 네트워크 기술'은 기존 차량 네트워크 대비 획기적 속도의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은 물론, 차량 내 여러 장치들과 개별 통신 및 제어가 가능하다. 동시에 클라우드·빅데이터·보안기술로 구성되는 '통합 인프라 개발'도 가속화할 예정이다.
정의선 부회장은 "커넥티드카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놀랍고 새 생활 가치를 창출해 미래 모빌리티 품질과 안전, 보안 측면에서도 완벽한 혁신을 기대하고 있다"며 "이번 협업은 현대차가 주도하는 커넥티드카 및 새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조기에 현실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척 로빈스 CEO는 "이번 협업을 통한 기술적 혁신은 자동차 산업의 디지털화를 통한 파괴적 변화를 이끌게 될 것"이라며 "커넥티드카, 보안 그리고 대용량 커뮤니케이션 전 부문에 걸친 기술에서 앞선 양사 경쟁력이 업계 선두 플랫폼을 구축하는 핵심이 될 것"이라고 응대했다.
현대차와 시스코 양사는 '차량 네트워크 기술' 협업 외에도 공동으로 모의 테스트 프로젝트를 진행해 커넥티드카 기초 연구를 수행한다.
커넥티드카 모의 테스트 프로젝트는 다양한 상황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분석하고, 신규 기술들을 검증하기 위한 차원이다. 또 다양한 외부 환경과 상황을 인위적으로 구현하고, 커넥티드카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제어 기술들을 연구한다.
무엇보다 양사는 이번 테스트 프로젝트에 국내 스타트업(벤처기업)을 참여시켜 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에 관심을 나타냈다. 이날 정의선 부회장과 척 로빈스 CEO는 모의 테스트 프로젝트를 수행 중인 해당 스타트업을 찾아 기술진들과 연구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논의하기도 했다.
한편, 이달 초 현대차는 커넥티드카 개발 전략과 기본 개발 방향을 발표했다. 현대차 커넥티드카 콘셉트인 '초연결 지능형 자동차'는 자동차 자체가 '달리는 고성능 컴퓨터', 즉 자동차 내부는 물론 집·사무실·도시까지 하나로 연결되는 개념이다. 이를 위시해 자동차 자체가 생활이 되는 '카 투 라이프' 시대를 열겠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