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여소야대(與小野大) 정국과 새누리당 과반 확보 실패라는 화제를 뿌리며 개원을 준비하는 20대 국회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4·13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야권에 밀려 16년 만의 여소야대 정국을 맞이하게 됐다. 때마침 박근혜 정부가 집권 후반부로 접어들면서 이 같은 국회 상황은 한층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과반 확보는 고사하고 당초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우려했던 규모인 145석도 확보하지 못해 파란을 겪을 전망이다. 이른바 지도부 책임론과 함께 공천 실패에 대한 내부 비판론이 동시에 대두할 것으로 보인다.
최대 접전지역인 수도권에 할당돼 있는 122석 중 1/3도 확보하지 못했고, '텃밭'으로 꼽아온 영남권에서도 차가운 반응이 나왔다. 영남권 총 65개 지역구 가운데 무려 17곳에서 야당과 무소속 후보가 약진했다.
새누리당이 원내 제1당의 자리를 더불어민주당에 내주면서 여권은 국회 주도권을 상실하게 됐다. 19대 국회에서도 국회선진화법에 발목이 잡혀 일을 제대로 못한다는 불만이 나왔지만 상황 변화의 키를 잡지 못했고 오히려 더 어려워진 셈이다.
일각에서는 향후 새누리당 출신으로 무소속 당선된 이들의 복당 여부가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본다. 탈당 의원 당선자 가운데 2명 이상을 복당시켜 제1당 자리를 되찾는 시나리오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복당 불가론'을 주장했던 친박(親朴·친박근혜)계로서는 쉽지 않은 선택지다.
더민주의 성적표는 개헌저지선(100석)은 물론 목표로 삼았던 107석을 훨씬 웃돌았다. '안철수 이탈 파장'을 차단하는 데 성공을 거뒀다는 평가다. 하지만 호남 표심 수습에는 사실상 실패했다는 문제가 남는다. 이른바 '절반의 성공'이지만 외면하기 어려운 '절반의 실패'다.
광주 공천과 비례대표 공천으로 호남 민심이 완전히 돌아섰고 이를 수습하는 데에도 실패한 셈이다. 야당이 영남지역에서 의미있는 의석은 확보한 게 1990년 이래 처음이지만, 전통 텃밭인 호남에서의 참패로 빛이 바랬다는 평이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임시 운영 방식과 이후 당 운영 방안에 대한 스탠스 정립도 숙제로 떠오른다.
더민주로선 수도권 표심을 비롯해 20~40대 및 호남 출신 유권자 등 전통적 야당 지지자들을 결집한 데는 일단 성공했기 때문에, 다소 이질적인 김 대표 체제에 당 방향을 어디까지 맡겨야 할지 이견이 대두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국민의당은 지역구에서만 교섭단체 구성요건인 20석을 훌쩍 넘기고, 비례대표 정당 득표율에서는 더민주까지 제치는 등 사실상 총선에서 '최대 승자'가 됐다. 안철수 공동대표의 정치적 입지가 확실히 굳어질 것이라는 점이 우선 눈에 띈다.
다만 더민주의 호남 공천 파장에서 이삭줍기를 했다는 점은 두고두고 문제가 될 부분이다. 야권 분열 책임론은 총선 성적표로 희석이 가능해졌지만, 새로운 정치를 표방한 깃발 아래 더민주에 불만을 품은 호남 정서의 집결로 거둔 성적이라는 평가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제3당의 위치에 올라섰기 때문이다.
당의 정체성과 지향, 역학 구도 풀이를 모두 총선 이후로 미뤄뒀기 때문에 교통정리도 시급해졌다. 안 대표의 지도력 발휘 시험대가 마련되고 당내 구조 개편 필요성도 곧 부각될 전망이다.
여소야대 정국과 새누리당 과반 확보 실패는 박근혜 정부의 후반기 국정 운영에도 일정한 변화를 주문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19대 국회의 운영 패턴과는 전혀 다른 정치 상황 조성이 불가피할 것으로 점쳐진다.
다만, 이 같은 문제를 받아든 국회에서 당별로 또 각당 사이에서 정치력을 발휘할 인재들이 충분히 육성돼 있는가는 별개의 문제다. 정치력 부재로 치닫는 경우에는 오히려 20대 국회와 19대 국회 간 차별점을 찾기 어려워지고, 오히려 상황 악화로만 치달을 수도 있다. 복마전이 될 우려와 새로운 정치 거물들을 여럿 탄생시킬 갈림길에 선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