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테슬라가 보급형 전기차 모델3(Model3)를 공개했다. 마치 만우절 거짓말 같은 스펙과 가격에 국내외 자동차 마니아들은 열광했다.
일단 기존의 모델S(세단), 모델X(SUV)에 비해 절반부터 3분의 1 수준인 3만5000달러(약 4000만원)로, 가격이 책정됐고 대한민국에서도 1000달러(약 110만원)를 온라인 결제하면 사전 예약이 가능하다.
특히 가격대와 관련해 정부의 전기차 구매보조금(1200만~1900만원)을 적용하면 2000만원대에 가질 수 있다는 의견이 미디어에 오르내리며 예비 구매자들의 마음을 설레게 했다. 하지만 '2000만원대 테슬라'를 만나는 것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실현되기는 어렵다.
테슬라 모델3는 수입차다. 딜러십 없이 자사 직접 판매를 고수하는 테슬라 정책상 수입사와 딜러마진을 빼더라도 기본적인 수입비용이 든다. 먼저 올해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철폐됐지만 개별소비세(5%), 교육세 등을 합하면 273만원이 세금으로 붙는다.
또 △운송비(70만원) △보험비(30만원) △통관·하역요금 등 제경비(Processing Fee·46만원) △PDI(40만원) 등을 합치면 수입 가격은 4659만원까지 불어난다. 여기에 판매 승인비와 예상 마케팅 비용을 더하면 약 150만원의 추가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단순 계산하면 약 4800만원(부가세 10% 제외) 정도다.
물론 전기차에 대한 정부 보조금을 최대로 적용하면 약 3600만~3800만원대로 싸진다. 단 테슬라가 국내에서 제조사로 등록, 정식 통관 절차를 거쳐 판매해야 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며 해외 직접 구매는 해당되지 않는다. 또 국내 전기차 구매자가 많아질수록 보조금은 줄어든다.
우리보다 앞서 테슬라를 받아들인 일본, 중국의 가격정책을 보면 국내 상황을 대강 예상할 수 있다.
중고가형 세단인 모델S의 경우 일본은 2011년 봄 예약을 받기 시작해 2012년 6월 미국에서 처음 출고된 뒤에도 2년 뒤인 2014년 9월에야 첫 차량이 인도됐다. 중국은 2013년 8월 말 예약을 시작해 이듬해 4월 첫 주인을 찾았다.
모델S 중 가장 저렴한 70D의 경우 미국 현지 가격은 7만6500달러(약 8740만원·현금가 기준), 세금감면과 5년 이상 주행 시 연료비 절감액을 감안할 경우 6만3400달러(약 7250만원)이다.
이에 비해 일본에서는 같은 모델이 미국보다 2000만원 정도 비싼 1015만6000엔(약 1억734만원), 절감분 포함 885만6520엔(약 9360만원)에 팔린다.
중국은 기본 차량 값에 운송·취급비, 관세 등 세금 부담이 더 크다. 모델S70D 현금가는 78만1500위안(약 1억3800만원)이며 무료 라이센스와 연료 절감분을 감안해도 71만6500위안(약 1억2600만원)에 달한다. 미국 현지 대비 2배 가까이 비싼 셈이다.
모델3 역시 이전 모델과 유사한 과정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테슬라 측은 공식홈페이지에 각국 출시 가격은 차량 가격 3만5000달러에 출고시기 환율과 운송 및 기타 제반비용이 추가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정부 보조금 역시 실제 출시 즈음 결정될 예정이다.
보조금과 유지비를 정확히 예상하기 위해서는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인 테슬라코리아의 영업력에 달렸다. CEO 엘론 머스크(Elon Musk)가 트위터에서 한국시장 진출을 선언한 뒤 지난해 11월 테슬라코리아 유한법인이 설립됐다.
하지만 아직 공식 수입과 관련해 결정된 것은 없다. 다만 모델3 북미 출시가 2017년 말로 국내 예약자는 지금부터 2년은 기다려야 차량을 받을 수 있다. 2년 동안 모델3의 대량 양산 시스템과 충전소·정비시설 등 국내 인프라가 갖춰지길 기대할 뿐이다.
일부에서는 모델3를 비롯한 테슬라 제품을 '자동차계의 아이폰'으로 부르며 추앙하는 분위기다. 소비자의 구매 욕구가 큰 만큼 가격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바로 현지화다.
기본적인 한글패치는 물론이고 구글맵 기반으로 제공되는 지도와 네비게이션을 국내법에 맞게 전면 수정해야 한다.
또 무료 네트워크 구축을 국내 통신사와 협의해야 하며 테슬라의 간판 서비스인 수퍼차저스테이션이 적어도 한 곳(일본의 경우 도쿄를 비롯해 전국에 6곳 운영 중)은 생겨야 한다. 수리 역시 직영 서비스센터만 허용하는 테슬라 정책에 따라야 한다. 과연 이 모든 게 2년 안에 가능할까?
한편 테슬라의 대항마로 국내 완성차업계 1위인 현대차 '아이오닉'이 거론되고 있지만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일단 정부가 나서 ‘무료 충전’에 찬물을 부었다.
이달 11일부터 정부는 전국 전기차 급속 충전시설 337기에 요금 단말기 설치를 완료하고 kWh당 313.1원의 충전 요금을 부과할 예정이다. 전기차 충전시설에 민간자본을 투입해 시장을 키우기 위해서는 유료화가 불가피하다는 게 이유다.
이를 두고 모델3 예약구매를 마쳤거나 고려 중인 소비자 가운데서 "현대차가 한전 부지에 부은 10조원을 전기차 인프라에 투자했다면 아이오닉을 샀을 것"이라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