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완연한 봄 날씨에 다양한 축제와 나들이를 찾아 산과 명소들을 찾는 사람들이 늘면서 교통사고도 많아져 차량운전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때다.
교통사고는 미연에 방지돼야 하지만 만약 발생한 뒤라면 사고로 인해 발생한 몸의 이상을 꼼꼼히 살펴야한다.
특별한 외상이나 다친 곳이 없다고 판단해 방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작은 교통사고라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을 하면 오산이 될 수도 있다. 사고로 한 번 생긴 후유증은 초기에 제대로 된 치료가 진행되지 않으면 훗날 만성화, 고질화로 남을 수 있다.
교통사고 후유증의 특징은 사고 직후에는 아무렇지 않은 듯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증상을 보이게 된다는 점이다. 눈에 보이는 큰 외상이 없이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목, 어깨, 허리 통증과 무릎 및 손목의 통증이 나타난다. 보통 교통사고 직후보다는 1~2일이 지나고 통증이 심해지는데, 이는 사고로 긴장됐던 근육이 이완되면서 통증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아울러 두통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머리를 꼭 다치지 않아도 충격으로 경추가 비틀어지거나 꺾이게 되면 두통까지도 발생할 수 있다.
교통사고의 충격은 전신의 균형을 망가뜨린다. 충격으로 목이 순간적으로 젖혀지며 목 주변의 근육과 인대에도 무리를 준다. 이런 증상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적인 후유증에 시달릴 수 있어 조기치료가 중요하다.
한의학에서는 교통사고 후 통증은 충격으로 인해 혈액이 정체되는 어혈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해 어혈을 배출하는 다양한 시술이 있으며, 최대한 조기 치료가 무엇 보다 중요하다.
김삼기 덕수한의원 종로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