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 30대 직장인 여성 김모씨는 얼마 전 허리 통증 때문에 정형외과를 찾았다. 엑스레이 촬영을 해보니 허리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는데, 뜻밖에 자궁 주위에 이상을 발견했다. 의료진의 권유대로 큰 병원을 찾은 김씨는 자궁이 아닌 난소에 8㎝가 넘는 큰 낭종이 생겼다는 진단을 받았다. 불편한 증상이 없었던 데다 미혼이라 산부인과 방문을 꺼린 탓이 컸다.
난소는 엄지손가락 크기의 작은 장기지만, 난자를 만드는 생명의 근원일 뿐 아니라 성호르몬 생성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까지 맡고 있다. 난소에는 난자의 성장을 돕는 '난포'가 있는데, 배란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면 난소에 낭종이 생긴다.
이렇게 생긴 종양을 '기능성 난소 낭종'이라 부른다. 배란 과정에서 발생하므로 가임 여성에서 흔한 것이 특징이다.
기능성 난소 낭종은 대부분 자각 증상이 없다. 다른 종괴 역시 크기가 작을 때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낭종이 커지거나 악화되면 △복부팽만 △소화불량 △복부압박 △대소변 불편 △질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난소에 종양이 생겼다고 무조건 수술하는 것은 아니다. 3개월 이내 자연스레 없어지는 경우가 많아 우선 경과를 먼저 관찰한다. 크기가 크거나 출혈을 동반할 경우 피임제를 복용하기도 하며 낭종이 사라지지 않고 형태 등에 이상이 생길 시 수술을 고려하게 된다.
문혜성 이대목동병원 로봇수술센터장은 "우리나라 미혼 여성은 남의 시선 때문에 산부인과 방문을 꺼리고 기혼 여성은 임신 출산 이후 정기검진 등에 무관심한 것이 현실"이라며 "난소 낭종은 심해지기 전까지는 자각 증상이 없고 특별한 예방법도 없어 산부인과 정기검진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미혼 여성은 흉터나 회복 여부 때문에 수술을 두려워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에는 통증과 흉터와 정상 부위 손상을 최소화하는 로봇수술 등의 치료법이 생겨 일상생활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미혼 여성 중 53.2%가 부인과 쪽 건강에 이상을 경험했지만, 산부인과를 방문하지 않는 경우가 과반수인 56.9%에 달했다.
1, 2년 정도 주기를 두고 산부인과 정기검진으로 자궁경부암, 난소 낭종, 자궁 근종 등의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과도한 스트레스는 정상적인 배란 과정을 방해할 수 있으니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술, 카페인 등은 지나친 섭취를 줄이고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게 난소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요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