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석 기자 기자 2016.04.07 16:05:32
[프라임경제] 나경채 정의당 광주 광산갑 후보(사진)는 7일 광산의 새로운 정치인은 지역경제, 서민경제를 돌볼 수 있는 사람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나 후보는 "김동철 후보는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해외 이전 계획에 대해 2013년부터 이미 알고 있었다"며 "근 3년의 시간이 있었는데 지역구 국회의원으로서 대체 무엇을 했는지 알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삼성전자 광주사업장의 가전사업 생산액은 2014년 기준 4조8000억원으로 광주지역 내 총생산(GRDP) 30조9000억원의 15.5%에 달한다"면서 "삼성은 이미 수년 전부터 저가형 가전 생산의 베트남 이전 계획을 공유하고 있었으며 지역 정치인들은 이를 알고 있었지만 그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울러 올 초에 더불어민주당 윤장현 광주시장이 발표한 '가전산업 육성 종합대책'에 대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며 "이마저도 없는 다른 정치인들은 지역경제에 큰 파장을 가져올 수 있는 본 사안에 대해 그간 무슨 대책을 세웠는지 확실하게 답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지금 국민의당의 경제 인식은 대단히 우려스럽다. 그간 최저임금 공약에 대한 의견이 없던 국민의당이 어제 '최저임금은 꾸준히 물가상승률 이상으로 인상돼야 한다'고 밝혔다"면서 "박근혜 정부 3년간 물가상승률이 평균 1.1%인데, 앞으로 현재 최저시급의 6030원에서 꾸준히 66원씩만 오르면 된다는 말인가"라고 꼬집었다.
더불어 나 후보는 "국민의당 발언은 그간 최저임금 상승률보다도 훨씬 못 미치는 꼴인데 이게 무슨 대안이며 새정치인가"라고 반문하며 "서민경제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지도 못하고 겉치레식 발언에 급급한 정당은 정권교체할 능력을 갖춘 정당이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나 후보는 김동철 후보가 의원 시절 발의한 '규제프리존 특별법'에 대해 "대기업이 동네 미용실, 피부관리실까지 장악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는 독소조항이 포함된 문제 있는 법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규제프리존 특별법은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건의했던 법안"이라며 "3선 지역구 국회의원이 박근혜 정부의 숙원사업, 전경련의 청부입법을 받아 재벌 밥그릇만 챙겨주면, 지역 주민들의 살림살이는 누가 챙겨야 하는가"라고 강력 비판했다.
끝으로 "이제는 서민경제, 분배 문제를 제대로 알고 서민을 위한 경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정치인이 광산에도 필요하다"면서 "나경채와 정의당은 정의로운 경제, 진짜 서민경제를 만들 능력이 있는 정치세력"이라며 지지를 호소했다.
나 후보와 정의당은 △최저임금 1만원, 국민 평균 월급 300만원 달성 △대형마트·복합쇼핑몰 규제 △대기업과 하청 협력업체 간 초과이익공유제 도입 등의 공약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