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 알파고 대결이 알파고의 승리로 막을 내리면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편의점에서도 인공지능(AI)이 활약하게 됐다.
CU(씨유)는 자동 발주 시스템인 '스마트발주'를 오는 12일부터 가맹점주 신청을 통해 도입한다.
스마트발주는 전산 시스템이 점포별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고 자동으로 적정 재고량을 산출해 발주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평일, 주말 매출 데이터를 구분하고 실시간으로 재고량을 반영하는 등 정보 분석력과 정확도를 고도화했다.
BGF리테일은 편의점 운영에 가장 핵심인 발주를 사람이 아닌 시스템이 대체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가맹점주 수익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스마트발주를 개발하게 됐다.
이를 위해 BGF리테일은 약 1년간 관련 기술 연구·개발(R&D)에 50여명의 인력을 투입했다. 또 이 분야에서 인정받은 학술기관인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공급망관리연구실 자문을 통해 시스템 안정성을 검증한 바 있다.
문일경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공급망관리연구실 교수는 "스마트발주는 현재 유통업계에서 가장 선진화되고 안정적인 발주 시스템"이라며 "점포에 도입할 경우 개별 점포 매출 특성에 맞춘 발주로 재고 관리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CU는 두 달간 총 18개 점포를 대상으로 스마트발주를 테스트한 결과, 대부분 점포가 최적의 재고량을 유지했으며 정확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발주는 일부 상품에 한해 선시행한다. 추후 날씨, 계절, 행사 등 매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변수들을 반영해 확대할 예정이다.
오현진 BGF리테일 점포시스템팀장은 "CU는 가맹점주의 효율적인 점포 운영을 돕고 수익을 향상하고자 지속적인 시스템 개발에 앞장서왔다"며 "BGF리테일은 늘 업계 선두에서 최신 기술을 반영한 새로운 점포 시스템에 투자와 개발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BGF리테일은 업계 최초로 스마트폰으로 점포 상황을 체크하는 '모바일 점포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집에서 점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재택 발주 시스템' 등 안정적이고 편리한 점포 운영 시스템을 자체 개발해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