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곳곳에서 뉴스가 쏟아지는 총선 정국이지만, 그 와중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서울 노원갑 지역구 후보 경선은 비례대표로 이 지역 공천을 희망한 장하나 의원을 고용진 후보가 꺾으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모았다.
중앙정치에서 의미 있는 행보를 보이며 인지도를 쌓은 장 의원을 지역 기반과 콘텐츠로 무장한 고 후보가 꺾었다는 풀이가 뒤따랐다.
고 후보는 이 지역에서 서울특별시 시의원을 두번 역임해 지역에 정통하다. 1995년 지방선거가 처음 생길 때 노원에 와서 22년째 정치적 인연을 맺었다.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전공 공부를 이어가 대학원을 마쳤다. 국회부의장실 비서관, 민주당 원내총무실 전문위원을 역임했고 제4대, 제5대 서울시 의원으로 활동할 때는 특히 도시계획위원으로 역량을 쌓았다.
2002년 민주당 노원구청장 후보로 나섰지만 낙선했다. 노무현 정부 들어 청와대 행정관으로 발탁돼 일하고 한국환경자원공사(현 환경공단) 기획관리 이사로 일한 경험도 있다.
구청장 선거 이후 14년간의 공백을 메우는 그의 저력은 도시 문제에 대한 전문성과 다양한 콘텐츠다. 수서발KTX를 광운대역으로 끌어오겠다거나, 방과 후 학교를 위한 교육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공약은 지역 표심잡기 차원의 것이라 다른 당 후보들과 큰 차이점이 없다는 평을 얻을 수도 있다.
하지만 공릉동 행정주택 이슈나 광운대역 개발 문제 등으로 들어가면 경제관의 시각 차이가 두드러진다. 구 후보는 공릉동 행복주택 건립계획 취소가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 주민들이 바라지 않는 사업을 하향식으로 몰아붙여 추진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때문이다. 차선책으로는 대체부지 확보를 내세우고 있다.
광운대역 개발 역시 신자유주의 경제이념 신봉자들이 선호하는 민간자본 유치·개발로는 제대로 풀 수 없다고 주장해 치열한 대결을 예고하고 있다.
광운대역 개발은 민자유치 대신 지역민들의 참여와 이익 배분에서 유리한 도시개발 및 도시재생사업방식 등 새로운 접근법으로 풀어야 한다는 게 고 후보가 내세우는 기본원칙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근래 민자사업의 부작용이 몇 건 나타난 바 있지만 그렇다고 도시재생사업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여론이 확실히 돌아선 것도 아니다. 아직 제대로 국내에서 시행돼 호평을 받은 역사가 없다시피 한 낯선 개념이고, 미국 등 일부 선진국 사례가 연구 주제 정도로 소개된 데 그치기 때문.
이에 따라 고 후보가 시의원으로 일할 당시 쌓은 도시계획 지식을 활용해 선도사례로까지 이를 이끌지 주목된다. 이런 가운데 가계부채 상담센터 유치와 옛 서울북부지방법원 상권 활성화 등 서민경제 대책도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