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르포] 단통법 비웃는 테크노마트…허술한 방통위 감시망

LG G5 출시 첫 주말, 기기값 평균 36만원

황이화 기자 기자  2016.04.04 17:20:17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LG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G5가 출시 후 첫 주말을 맞았다. 지난 3일 '불법보조금 성지' 신도림 테크노마트는 휴대폰을 사려는 사람들로 붐볐다. 이어 찾은 강변테크노마트는 신도림점보다 다소 적은 인파가 오갔다.

남녀노소 다양한 사람들은 휴대폰 구매 상담을 받았고, 판매자들은 계산기에 가격을 표시해 보여줬다. 판매자들이 계산기에 숫자를 표시하는 이유는 불법보조금을 더한 가격을 제시하더라도, 녹음되거나 기록되지 않아 증거가 남지 않기 때문이다.

이날 본지 취재진이 방문한 테크노마트 두 지점은 신제품이 출시되면 흔하게 확인된 것처럼 불법보조금이 성행했다. 출고가 83만6000원인 G5의 기기값은 대체로 36만원대로 거래되고 있었다. 일부 판매점에선 추가로 현금할인을 더 해주겠다고 제안했다.

많은 사람들이 상담받던 신도림 테크노마트의 한 매장에서는 "현금으로 결제하면 기기값 36만원, 할부로 결제하면 28만원 페이백(Payback. 정가에 개통했다가 일정 기간 후 추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수법)해주겠다"고 제안했다.

서너 개 매장을 건너 또 다른 매장에서는 계산기로 기기값이 '36만원'임을 알려주고 추가로 "9만9000원을 현금으로 돌려주겠다"고 했다. 매장 직원은 "9만9000원에서 1000원만 더 올라가도 단통법에 걸려 벌금 2000만원을 내야 하지만 이 정도 금액은 서로 용인해주고 있다"고 귀띔했다.

'신도림 테크노마트는 휴대폰 불·편법 판매를 하지않습니다'라고 쓰인 플래카드 문구가 무색할 정도로 불법행위는 만연했다.

새 휴대폰이 개통될 때마다 '휴대폰 대란'이라 불리는 불법판매행위가 계속되고 있는 데 대해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고 해명할 뿐 보다 적극적인 해결책은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테크노마트 내 판매자들은 불법보조금 지원을 이어온 것. 특히 불법지원금이 많이 풀렸던 신도림점으로 소비자 발길이 집중되자, 강변 테크노마트 상우회는 지난 2월 불법지원금 자정결의를 철회키도 했다.  

지난 주말은 강변 테크노마트 역시 불법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었다. 한 대리점 직원은 "기기값을 32만3000원에 주겠다"며 "출시 후 첫 주말인 지금 저렴한 값에 판매해야 소개를 많이 해줘 밴드(네이버 밴드) 거래를 하는 것보다 이득"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일부 판매자들은 네이버 밴드나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을 통해 불법지원금을 많이 지급하고 채팅방과 밴드 커뮤니티를 삭제해 증거를 인멸하는 '떳다방'식 거래를 해왔다. 하지만 첫 주말 보조금을 더 얹어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것이 이득이 크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대리점 직원은 "기기변경보단 번호이동이 저렴하다"며 "오늘은 리베이트(판매장려금)로 28만원을 받는데, 매장마다 그 안에서 페이백으로 얼마를 줄지 정하고 있다"고 알려주기도 했다.

이 같은 불법판매행위에 대해 방통위 관계자는 "시장을 인지하고 있으나 구체적 계획을 밝힐 수 없다"며 "노력하고 있다"는 해명만 되풀이했다.

더욱이 그는 "대한민국에서 불법보조금은 근절될 수 없다"고 딱 잘라 말해 취재진을 아연실색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