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박근혜 대통령은 미국, 일본, 중국과 연이어 양자·3자 정상회담을 하며 북핵 외교전을 펼쳤다.
핵안보정상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박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일 한미→한미일→한일→한중 정상회담 순으로 모두 3시간10분 동안 릴레이 북핵 외교전을 전개했다.
박 대통령의 외교 일정은 이날 오전 10시35분 워싱턴 컨벤션센터 1층 의장국 전용회의장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회동으로 시작됐다.
두 정상은 15분간 대북 압박 공조 방침과 북한의 추가도발에 대한 단호한 대응 의지를 재확인하며 대북 압박을 강화키로 했다.
이어 두 정상은 같은 곳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함께 이날 낮 12시5분까지 75분간 한미일 정상회의를 했다. 2014년 이후 2년 만에 열린 이 회의에서 3국 정상은 유엔 안정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와 독자 제재 조치 이행 등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이번 정상회의는 북한의 핵 포기와 추가 도발 위협에 대한 대북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북한이 민감해 하는 인권 문제를 거론한 것도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한미일 3국 정상회의 뒤 언론 발표문을 통해 "3국은 안보리 결의 이행뿐 아니라 각국의 독자 대북제재 조치 시행을 서로 긴밀히 조율해 나가면서 국제사회가 실효적으로 대북 압박을 강화하도록 국제사회와의 연대도 한층 더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한 "전례 없이 강력한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2270호가 채택된 만큼 이제 중요한 것은 결의를 철저히 이행해 나감으로써 북한이 핵 포기 없이는 생존할 수 없음을 깨닫게 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미일 정상회의를 주재한 오바마 대통령은 "강력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이행해야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와 핵 활동을 억제할 수 있다"면서 "우리의 안보는 연결돼 있다"고 3각 안보협력을 강조했다.
아베 총리도 "한미일 협력을 안보 분야에서 추구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면서 "북한이 핵·미사일 능력을 진전시키는 것은 국제사회에 직접적인 위협으로, 이에 대처하기 위해 3자 협력을 모든 차원에서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아베 총리와 20분간 회담을 하고 한일 양자 간 북핵 문제에 대한 공조 방침과 위안부 합의 이행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박 대통령은 계속해서 이날 오후 워싱턴에서 진행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과의 회담에서도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위한 양국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면서 대북 압박에 대한 적극적 동참을 요구했다.
박 대통령은 회담 모두발언에서 "최근 북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도발은 양국 협력이 한반도는 물론 이 지역 평화와 안정확보에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일깨워주고 있다"면서 "중국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 책임있는 역할을 해주고 있는 데 대해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중한 관계를 전면적으로 기획해 각 분야의 교류 협력을 심화시키고 양국 관계가 건강하고 순조로운 발전을 추구할 것을 희망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