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인천시, 교통취약지역 교통체계 연구 보고서 발표

'인천형' 수요응답형 운영전략 제안

김호성 기자 기자  2016.03.31 14:26:54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국내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emand Responsive Transport)사업은 농어촌을 사업가능 대상지역으로 제한하고, 비수도권을 시범사업지역으로 추진하고 있다.
 
도시와 농어촌의 교통취약지역을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통합적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의 사업모델은 없는 것이다.

노선버스 사업자가 운행을 기피하는 도시교외 및 농어촌 지역과 출·퇴근 시간대 일시적인 수송력 공급증대가 필요한 신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교통취약지역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의 통합적 사업모델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인천발전연구원(원장 남기명)은 2015년 기초연구과제로 수행한 '교통취약지역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운영전략 및 추진방안 연구'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보고서는 노선버스 사업자가 운행을 기피하는 교외지역과 출퇴근 시간대 일시적인 수송력 공급 증대가 필요한 신도시 지역을 도시 내 교통취약지역으로 정의했다. 교통취약지역의 대중교통 문제점으로 주민의 통행특성에 부합하는 적정 서비스 공급과 운행횟수, 운행경로 등의 탄력적 운영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에서 도농복합도시의 특성을 갖는 인천시의 도시공간적 특성을 반영한 '인천형'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Demand Responsive Transport) 운영전략을 제안했다.
 
특히 △송도·청라·영종 및 논현·한화·서창 등 대중교통서비스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지역에 정기이용권버스형태의 수익형DRT사업과 △농어촌 벽지노선 및 도시교외지역 비수익노선에 여객의 요청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사회통합형DRT사업으로 크게 구분했다.

연구책임을 맡은 인천발전연구원 교통물류연구실 한종학 연구위원은 "지금까지 수요응답형 교통체계는 농어촌지역 또는 산업단지에 국한된 사업모델이 일반적이지만, 도시 내 대중교통 이용불편지역으로 노선버스사업자가 운행을 기피하는 지역에 정시 및 탄력적 예약운행과 주민 간 교통수단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DRT 통합사업모델은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인천시 교통취약지역의 대중교통 이용특성에 맞는 인천형 수요 응답형 교통체계 운영전략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추진 방안을 제안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