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근 교육부가 공개한 수행평가만으로도 성적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 관리지침에 대한 찬반 의견이 팽팽하다.
관련 개정안에서는 자유학기 활동의 영역, 이수시간 및 특기 사항을 입력할 수 있도록 했고, 고등학생이 학교 교육계획에 따라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이수할 경우 그 결과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학교생활기록부 양식을 고쳤다.
이에 지난 25일 좋은학교바른교육학부모회(회장 김선희, 이하 학부모회)는 수업의 질적 제고와 평가의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선행 요건임을 강조했다.
학부모회 측은 "학생들의 다양한 지적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맞춤형 수업 내용과 방식이 선행돼야 객관·신뢰·타당성을 확보한 제대로 된 수행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무엇을 평가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교사의 개념 정립이 제대로 돼야 제도의 취지를 제대로 살릴 수 있는 공정한 평가가 진행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수행평가가 자칫 학생과 학부모의 통제와 일방적 관계를 양산하는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학부모회 측은 "만약 이에 대한 대책 없이 그대로 진행된다면 학교 현장은 평가 공정성 시비로 큰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며 "공교육에 대한 신뢰는 또다시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학부모회는 학교교육의 질적 제고와 개인의 다양한 역량과 교육적 미래가치를 실현시키기 위한 교육부의 평가 시행규칙 개정안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평가에 대한 공정성과 적합성 논란에 대한 예측 가능한 부분은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