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해 분양한 오피스텔 물량 중 42%가 주인을 찾지 못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 3월까지 전국 222개 단지 중 95개 단지가 아직도 분양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141단지 중 56개 단지가, 지방에서는 81단지 중 39개 단지가 잔여물량을 소진하지 못했다. 수도권 미분양 비율은 40%, 지방은 48%로 지방이 수도권에 비해 물량 해소에 어려움을 격고 있다. 미분양 물량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고분양가를 들 수 있다.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분양이 많았던 지역은 경기도였다. 경기도 평균분양가 796만원보다 낮은 가격에 공급한 △시흥시 687만원 △고양시 708만원 △용인시 735만원 △화성시 755만원 등은 평균보다 높은 분양률을 보였다.
반면 경기도내 다른 시보다 분양가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지역들은 분양률이 50%를 밑돌았다. 특히 하남시(929만원)에서는 분양률이 10%에 그쳐 가장 저조한 성적을 나타냈다.
지난해 8월 분양했던 하남시 A사업장은 올해 3월 들어서야 분양이 마무리됐으며, 분양초기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던 B사업장은 3월 초 기준 미계약으로 잔여 실이 남아있다. C사업장도 계약금 이자지원 조건을 내세우며 미분양 털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물론 분양가가 높다고 무조건 분양 결과가 좋지 않은 것은 아니다. 수원시는 926만원으로 경기도내 다른 시보다 분양가가 높았지만 광교신도시에서 공급한 오피스텔들이 좋은 성적을 거뒀다.
특히 평택은 933만원으로 경기도내에서 최고 분양가였지만 산업단지개발·미군기지 이전 등 호재에 힘입어 분양률 50%로 선전했다. 초기 분양가에 대한 경쟁력은 물론 입지와 인프라 등 수익률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덕이다.
오피스텔은 임대수익률이 은행권 예금 금리보다 높고, 적정한 임대료만 제시하면 세입자도 구하기 쉬워 투자 수요가 꾸준하다. 하지만 지난해 공급된 물량이 다 소화되지 않았고 최근 임대수익률이 하락세인 만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올해 오피스텔 분양 예정물량은 지난해의 40% 수준으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2만실 이상 공급이 예정돼 있어 기존 미분양 물량까지 감안하면 현재 시장 여건에서 공급물량이 모두 소화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선주희 부동산114 연구원은 "실수요자라면 지역별 개발 호재와 입지, 분양가와 투자 수익률까지 꼼꼼히 따져서 분양에 나서야 한다"며 "투자목적이라면 오피스텔 월 임대료 50만~100만원대를 부담할 수 있는 수요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인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