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달러화 강세와 부진한 경제지표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13.14포인트(0.08%) 상승한 1만7515.73에 거래를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0.77포인트(0.04%) 떨어진 2035.94, 나스닥지수는 4.65(0.10%) 높은 4773.51이었다.
이날 뉴욕증시는 최근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이 지속적으로 기준금리 인상 전망을 내놓은 것이 달러화 강세를 이끌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책결정 투표 위원인 불라드 총재는 미국 경제 호조가 예상되기 때문에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멀지 않았다고 말했다.
기대에 못 미친 경제지표로 투자심리가 위축됐으며 성금요일 연휴를 앞두고 관망세도 작용했다.
업종별로는 금융업종이 0.6%가량 하락해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으며 에너지업종과 산업업종도 약세였다.
국제유가는 전일 발표된 미국 원유 재고 증가와 달러 강세로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5월물 선물은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33센트(0.8%) 하락한 39.46달러에 마감했다.
유럽 주요 증시도 국제유가 약세 영향으로 일제히 하락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의 DAX 30지수는 전일보다 1.71% 내린 9851.35, 프랑스 파리증시의 CAC 40지수도 2.13% 하락한 4329.68이었다. 영국 런던증시의 FTSE 1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49% 떨어진 6106.48로 장을 끝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