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시는 신규시책 발굴과 각종 시정현안 해결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하고자 23일 기규옥 경제부시장 주재로 '제17차 일자리 정책조정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에서는 △일자리분야 중점투자를 위한 예산편성 방안 △청년이 모이는 산업단지 시책 추진방안 △글로벌 수출기업 500 육성계획 등을 집중 논의했다.
부산시는 민선 6기 시정의 핵심과제인 '일자리창출'의 가시적인 성과도출을 위해 내년 예산편성을 일자리창출 사업·분야에 집중 투자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내년 예산에 반영될 주요 일자리 사업 예산편성 방식의 변경으로 일자리 사업에 대한 예산지원 규모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는 단기간 내 예산편성 방식을 지양하고, 시정 비전과 목표달성을 위한 정책 중심으로 연중 예산심사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이에 따라 부산의 서부산권 산업단지의 근무환경이 획기적으로 변모해 '청년이 모이는 산단'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는 중소기업 미스매치 해소대책의 하나로 서부산권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근로자의 근무환경 개선에 팔을 걷고 나섰다.
부산시는 고용노동부 등 정부공모 '2016년 청년이 모이는 산업단지 패키지사업' 선정을 계기로, 서부산권 산업단지 특색에 맞는 주거, 교통, 복지, 안전 등 근로자 정주 여건을 개선함으로써 청년이 모이는 산업단지로 바꿔나갈 나갈 계획이다.
부산시는 앞으로도 일자리미스매치 해소 및 일자리창출을 위해 근로자 편의시설 확충 및 '청년이 찾아오는 산업단지' 조성에 더욱 힘을 쏟을 계획이다.
더불어 일자리창출과 지역 중소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2030년까지 '글로벌 수출기업 500개 육성 프로젝트'에 돌입한다.
부산시는 다음 달부터 지원희망기업 모집에 나서 단계별 해외마케팅 관련 전문 컨설턴트 Pool 구성해 수출초보기업의 실질적인 수출 애로사항 및 해외시장 개척 노하우 전수 등 맞춤형 집중지원에 나선다.
일반주거지역(제2,3종) 내 떡 및 빵 제조업 공장입지 허용에 따른 일자리창출을 위해 오는 30일부터 제2종 및 제3종 일반주거지역에서의 떡 및 빵 공장 바닥면적 규제가 완화된다.
이를 위해 부산시는 국토계획법에서 제과제빵 제조업을 두부제조업 및 세탁업과 차별해 공장건축면적을 제한하는 것은 불합리해 국토교통부 '국토계획법 시행령' 개정을 끈질기게 요구해왔고, 그 결과로 지난해 12월 '조례 위임'이라는 결실을 맺었다.
김규옥 경제부시장은 "지역 기업의 불편을 해소해 투자 확대 및 일자리창출을 위해 조례개정을 공포 즉시 시행토록했다"면서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규제개혁과 제도개선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