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가려움증은 간경화, 폐섬유증, 신부전, 혈액투석 등의 환자에서도 발생하지만 피부질환 중 두드러기 습진, 한포진, 화폐상습진, 지루성피부염, 모낭염, 주사 등에서도 생긴다.
가려울 땐 서양의학에서는 항히스타민제를 처방하고 피부발적과 염증이 있을 땐 스테로이드제를 처방한다. 염증과 가려움증은 1시간내로 진정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몇 시간이 지난 뒤 식사를 하고 운동을 하고, 일상적인 생활을 하는 와중에 다시 가려움증과 피부발적, 염증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세포는 구강으로 들어온 음식물을 분해, 합성, 수송과 같은 대사활동을 하게 된다. 대사활동 결과 열에너지가 발생되고 그때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온도가 37℃일 때 세포가 정상적인 일, 대사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세포가 손상을 받거나 기능저하에 놓이게 되면 대사활동이 저하되고 세포내 미토콘드리아에서의 열에너지발생량이 줄어든다. 뇌를 포함한 오장육부의 온도인 심부온도(Core temperature)가 저하되고, 체온조절중추인 시상하부(Hypothalamus)에서는 체온을 보존, 유지하기 위해 모공을 닫게 된다.
이후에 식사를 하거나 운동, 과도한 스테레스를 받게 되면 열에너지가 발생되고 그 발생된 열에너지가 원활하게 방출이 되지 못할 경우엔 강제적으로 모공을 열게 된다. 즉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것.
아울러 피부에서의 발적 염증으로 인해 피부온도가 상승될 경우엔 피부에서의 표면장력이 약해져 압력과 밀도가 낮은 피부밖으로 밀어내는 힘이 강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피부융기현상인 팽진, 구진, 수포 등이 나타나게 된다. 만약 팽진이 나타날 경우엔 두드러기로 진단을 내리게 된다.
환자가 가려움증, 발적, 염증, 팽진 등을 호소할 때에는 서양의학에서는 스테로이드제 및 항히스타민제를 처방하게 된다. 복용 후 1시간 내로 증상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세포열에너지대사를 강제적으로 줄였기 때문이다. 즉 산화분해효소인 히스티딘탈카르복실화효소(histidine decarboxylase)나 포스폴리파아제(phospholipase)의 작용을 차단한 것이다.
문제는 세포에서의 일량이 줄어들어 열에너지발생량 또한 줄게 되고 이는 심부온도, 피부온도 동시에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몸속에서 열에너지가 발생하지 않으니 강제적으로 빼낼 열에너지가 없어져서 가려움증이 사라졌던 것이다.
아울러 피부온도가 내려갔으니 피부에서의 발적, 염증은 자연스레 없어졌던 것이다.
심부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모공은 다시 닫히게 되고 식사나 운동을 할 경우엔 다시 열이 발생되고 그 발생된 열에너지가 방출이 되지 못할 경우엔 다시 가려움증은 생기게 된다.
가려움증은 끊임없이 반복되는 악순환에 놓인다, 한순간의 가려움증을 줄이기 위해 심부온도까지 낮추는 치료는 병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병을 키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려움증과 두드러기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사람을 밀폐형시스템으로 만들기보다는 개방형시스템으로 만들어야 한다. 모공을 열어서 전신으로 골고루 열에너지가 분산 방출돼야 가려움증과 두드러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강재춘 경희피레토한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