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인천지역 장기실업자 비중은 여성과 고령 경제활동 인구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발전연구원(원장 남기명)은 2015년 기초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지역 노동시장 특성분석' 결과보고서를 21일 발표했다.
연구보고서는 최근 인천지역의 지속적인 고용률 상승이 관리직, 전문직, 사무직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노동인력의 지역 간 이동은 서울의 강남, 영등포, 서초 등 사업서비스업, 제조업 집적지를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최근 지역 고용시장에 나타나는 실업률 증가의 원인은 장기실업자(1년 이상 실직자)의 비중이 해마다 증가하기 때문이며, 장기실업자 비중은 여성과 고령 경제활동 인구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짚었다.
연구를 주도한 정남지 지역경제연구실 연구위원은 구체적인 정책방안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지역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일자리 창출·유지 지원 지속 △지역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강화 △일자리 매칭 서비스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실직기간(재취업에 걸리는 기간) 감소와 인천지역 노동시장의 효율성 제고 등을 제안했다.
정 연구위원은 장기적인 대책으로 인천지역 노동시장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여성, 고령층, 저숙련, 저교육 노동력 등)를 위한 일자리와 안정적 소득원을 제공할 수 있는 경제·산업구조에 대해 연구하고 체계적으로 실행할 것을 주문했다.
예를 들어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글로벌 기업유치나 연구개발 기능 등을 강화하는 것과 동시에 생산직과 판매직 등 지역노동력을 위한 일자리 창출까지 고려한 산업성장 전략을 개발하는 등 '포용적 지역경제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