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결혼이 직장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지에 대해 남녀 간의 생각이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림인(대표 이정근)이 직장인 1401명을 대상으로 '결혼이 직장생활에 도움되는지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남성의 75.9%가 '도움 된다'고 답한 반면 여성은 71.8%가 '방해된다'고 선택해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남성 직장인들은 결혼이 직장생활에 도움이 되는 이유에 대해 69.6%가 '심리적으로 안정돼서'(복수응답)라고 답했다. 이어 △책임감으로 더 열심히 일할 것 같아서 67.6% △내조를 받을 수 있어서 46.8% △경제적으로 안정돼서 21% △미혼자에 대한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 14.9% △기혼 동료들과 공감대 형성 등 인맥이 넓어져서 13.1% 등의 이유를 들었다.
이에 반해 여성은 결혼이 직장생활에 방해가 되는 이유로 '가사 및 육아에 신경 써야해서'가 76.5%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경력 단절이 생길 수 있어서 56.1% △직장에서 기혼자에 대한 배려가 없어서 46.7% △퇴사에 대한 압박이 있어서 27.6% △경제적 부담이 커져서 23.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그렇다면 실제 결혼으로 인해 직장생활에 도움이나 차별을 받은 경험은 얼마나 될까. 이에 대해 기혼 직장인 386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2명인 23.8%가 결혼 후 직장생활에서 혜택을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 후 받은 혜택 1위는 '연말정산 세금 혜택'이 57.6%로 가장 많았고, 그 밖에 △출산·육아 휴가 31.5% △출산·육아 관련 보너스 26.1% △주택 대출 등 지원 20.7% △업무 배분 시 배려 16.3% △근무시간 조정 16.3% △임금 우대 15.2% △승진 우대 2.2% 등이 있었다.
반면 14.8%가 결혼 후 차별을 받고 있었으며, 여성(36.9%)이 남성(8.6%)보다 4배 이상 많은 차별을 받고 있었다.
차별 유형으로는 '출산·육아 휴가 사용 어려움'이 50.9%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임신·출산으로 퇴사압박 24.6% △불정정한 업무 배분 22.8% △승진 누락 22.8% △부서 배치 시 불이익 22.8% △임금 차별 17.5% △성과 보상 시 불이익 15.8%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사람인 관계자는 "결혼 후 남성들은 대부분은 혜택을 받고 있었지만 여성은 출산 때문에 차별을 많이 받고 있었다"며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현재 출산·육아로 인해 차별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