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개나리를 비롯한 봄꽃이 지난해보다 2~3일 앞당겨 개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처럼 계절이 겨울에서 봄으로 바뀔 경우 사람들은 두꺼운 겨울옷을 벗고 봄옷으로 갈아입는다. 자동차 역시 눈길 및 빙판길을 달리던 겨울용 타이어를 벗고 일반 타이어로 교체해줘야 한다. 그렇다면 겨울용 타이어에서 일반 타이어로 언제 교체해야 할까.
이에 대해 브리지스톤 코리아 상품총괄 및 기획팀 차상대 팀장은 "겨울용 타이어는 빨라도 3월 말 이후 완연한 봄 날씨가 찾아왔을 때 일반 타이어로 교체해주는 게 좋다"라고 말한다.
이어 "겨울용 타이어의 교체 시기는 영상으로 올라가는 낮 기온을 기준으로 삼지 말고, 영하로 떨어질 수 있는 밤 혹은 새벽 기온을 기준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브리지스톤 코리아에 따르면 꽃샘추위로 인해 아침·저녁으로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3월은 겨울용 타이어를 벗어던지고 일반 타이어로 교체하기엔 이르다는 것. 즉, 이른 아침과 늦은 저녁 시간대에 자동차로 출퇴근 하는 대도시 운전자들은 적어도 3월까지는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하는 게 바람직하다.
다만, 일부 강원도 지역에서는 4월까지도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산간지역은 기온이 낮은데다 응달진 곳, 터널, 교량이 많기 때문에 낮 동안 녹아내린 노면의 물기가 저녁에는 쉽게 얼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강원도 태백시 소재 타이어 커넥션 문관현 사장은 "태백과 같은 강원 산간지역은 3월까지 눈이 내리고, 저녁 기온도 4도 이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운행을 위해선 4월 경 겨울용 타이어를 벗고 일반 타이어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일반 타이어로 교체 후 떼어낸 겨울용 타이어는 보관에 앞서 타이어의 앞뒤좌우를 표시 한 후,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고 공기가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 된다. 타이어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타이어를 신문지로 포장해 보관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타이어는 가급적 타이어 휠에 끼운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타이어 휠이 타이어가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겨울이 돌아와 다시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할 때는 앞뒤 타이어의 위치를 바꿔주면 타이어 수명을 조금 더 늘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이 겨울용 타이어 4본을 한꺼번에 보관할 공간을 확보하기는 쉽지 않다. 현재 타이어 영업점들은 타이어 '파킹(parking)'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타이어 파킹 서비스란 겨울용 타이어를 구매한 고객의 일반 타이어를 동절기 동안 보관해주고, 겨울이 지나 다시 일반 타이어로 교체할 때는 겨울용 타이어를 보관해주는 서비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