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금융당국이 단기금융시장 관련 주요 과제들을 종합 논의해 올해 상반기 중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금융위원회는 17일 은행회관에서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관계자들과 함께 단기금융시장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관계기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지난 2011년부터 단기금융시장 개선 노력을 지속해왔다. 무담보 콜 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편중을 해소하기 위해 2011년 6월부터 제2금융권의 콜차입을 제한하고, 2013년 1월에는 전자단기사채법을 제정해 시행했다.
이에 따라 콜 거래는 2011년 30조8000억원에서 2015년 17조9000억원으로 축소됐고 반대로 같은 기간 기관간 RP거래는 15조6000억원에서 38조8000억원으로 확대되는 등 콜 시장 편중 현상이 완화됐다.
전자단기사채법 시행으로 금융기관 전자단기사채는 발행잔액이 2015년 말 현재 7조5000억원 규모로 성장해 무담보거래인 콜 및 기업어음(CP)을 대체하고 있다. 이 밖에도 금융위는 다양한 지표금리를 육성하고 지표금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코픽스와 단기코픽스를 도입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RP시장의 경우 90% 이상이 익일물로 거래돼 효율적인 금리체계 형성에 제약이 있다고 밝혔다. 대출 연동금리로서 코픽스·단기코픽스 등의 활용도도 높아지고 있으나 단기지표금리로서의 역할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단기금융시장과 관련해 체계적인 시장 규율체계도 미흡한 실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시장 성숙도 측면에서 볼 때 여전히 우리 단기금융시장에는 개선할 여지가 많은 상황"이라며 "이번 TF를 통해 단기금융시장 관련 주요 과제들을 종합 논의해 상반기 중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