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국민의당이 유독 광주에서만 적용하기로 한 '숙의배심원제'가 불공정 경선을 위한 음모가 아니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현역 국회의원이 있는 선거구는 '숙의배심원단 100%', 현역의원이 없는 선거구는 '숙의배심원단(70%)+여론조사(30%)'로 경선을 치룰 것이라는 당초 계획에 꼼수가 포함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돼 후폭풍이 예상된다.
북구을 선거구는 임내현 의원 컷오프로 현역의원이 없는 지역인데도 유독 숙의배심원단 100%로 발표했다. 이는 특정인을 위한 꼼수로 지적되고 있지만 국민의당은 납득할 만한 해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정가에서는 천정배 공동대표를 서구을 지역에 단수공천하기 위해 벌어진 '자충수'로 해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빅브라더 지시'에 따라 경선후보가 선출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제도를 강행하는 것은 제대로 된 공정한 후보를 뽑기는커녕 억울한 희생양만 양산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배심원단 100명의 규모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70%를 유효 배심원단으로 가정한다면, 70명의 인원만이 참석해 선거구별 국민의당 후보를 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70명이 광주의 미래와 국가정책을 좌우할 수도 있는 후보를 결정하게 되는 것으로, 이들이 '민의'를 대변할 수 있느냐는 것이 의문이다.
이뿐 아니라 일부 후보들 사이에서 배심원단 모집 알림 메시지를 유권자에게 도를 넘을 정도로 무작위로 발송하고 있어 불법 선거가 우려되고 있다.
일부 후보들은 SNS를 통해 '배심원단으로 선정되면 연락을 해달라'는 내용을 전파하고 있다.
실제 일부 후보들은 자신의 사진과 함께 "배심배심원으로 선정되신 분은 000-000-0000번으로 전화 부탁 드립니다"는 문자를 전송하고 있다. 이는 숙의배심원의 명단을 파악해 자신들의 인적 지지층으로 만들기 위한 편법으로 해석된다.
실제 국민의당 광주시 예비후보 각 사무실에서는 배심원들의 명단을 확보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은 SNS라고 할지라도 선관위나 국민의당이 직접 나서서 이 같은 메시지를 보낸 후보들을 단속하거나, 불이익을 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국민의당 중앙선관위는 17일 광주시당 사무실에서 '숙의선거인단 경선 투표' 관련,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