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우 기자 기자 2016.03.16 18:10:16
[프라임경제] 경남도는 폐기물 발생억제, 재활용과 자원화를 통한 자원순환형 실현을 도모하고자 도내 18개 시·군 공무원 40여명이 참여해 '2016년 자원순환정책 워크숍'을 16일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현장 업무추진에 적절히 접목하고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폐기물처리시설 관리 및 정책 입안 등 일선 시·군 현장에서 자원순환정책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개최됐다.
이날 워크숍은 도와 전 시·군의 주요정책과 우수사례 발표하고, 한국폐기물협회 및 한국환경공단 등 폐기물 관련 환경정책과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실태 평가제도에 대한 정보 공유의 장을 마련했다.
2016년 경남도의 자원순환정책은 폐자원 재활용과 자원화 기반조성, 폐기물 발생억제 및 최소화 대책 추진, 생활폐기물 공공처리시설 확충 및 청소차량 선진화 등 3대 전략으로 자원순환형 사회실현을 목표 삼았다.
주요 사업으로는 폐자원 재활용과 자원화 기반 조성을 위해 농촌지역 등 분리배출 취약지역에 재활용품 분리·배출 및 보관할 수 있는 거점 수거시설인 재활용동네마당 설치사업을 합천군 5개 마을에 8500만원을 투입, 시범 추진한다.
또한 농어촌 지역 환경개선과 영농폐자원의 재활용 촉진을 위해 농업용 폐비닐 공동집하장 101개소 설치에 5억원, 폐비닐·농약빈병 수거보상에 27억원을 투입한다.
또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방식을 봉투에서 칩 방식으로 개선하는 사업을 4개 시·군 8만 세대에 대해 추진하고 폐가전제품(40개 품목) 무상방문 수거서비스도 지속 전개하게 된다.
아울러 매년 증가하는 생활폐기물을 최대한 재활용 및 감량하고 불연성 폐기물은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생활폐기물 공공처리시설 확충사업을 계속 추진할 방침이다.
올해는 5개시·군 10개사업에 122억원을 투입한다. 시설별로는 소각시설 및 열회수시설 1개소, 매립시설 4개소, 음식물처리시설 1개소, 생활자원회수센터 2개소, 폐자원에너지화시설 2개소다.
김종임 경남도 환경정책과장은 "자원순환형 사회실현을 위한 비전 달성은 현장 행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시·군과 협력해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도민들의 자발적인 폐기물 발생억제 노력과 시·군의 재활용 정책에 적극적인 동참을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