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매출액 500대 기업 50% "신규채용 글쎄…"

전경련, 2016년 상반기 신규채용 전망 발표

추민선 기자 기자  2016.03.16 11:23:02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매출액 500대 기업 10개사 중 5.2개사는 아직까지 올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한 '2016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 조사 결과(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209개 기업 중복응답)에 따르면, 209개 기업 중 채용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기업이 109개(52.2%)였다.

이어 △작년만큼 뽑겠다'는 기업은 57개(27.2%) △작년보다 더 뽑겠다 19개(9.1%) △작년보다 덜 뽑겠다 22개(10.5%)였으며 '한 명도 안 뽑겠다'는 기업은 2개(1.0%)였다.

기업들은 신규채용 규모 결정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으로 △적정 조직 인원(48.0%) △국내외 업종경기 상황(22.1%) △인건비 총액(19.3%) △정부시책 호응(9.3%) 등을 꼽았다.

신규채용을 늘리지 못하는 이유는 △T·O가 없어서(29.9%) △회사 내부 상황으로 신규채용 여력 감소(26.8%) △국내외 경기상황 악화 예상(23.6%) △정년연장으로 인한 퇴직인원 감소에 따른 정원 관리(9.4%) △통상임금 증가 등 인건비 부담 증대(7.1%) 순이었다.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 인원 중 이공계 선발 비중은 평균 59.3%, 여성 선발 비중은 25.9%로 나타나 올해도 '이공계·남성' 쏠림 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조사에 응답한 209개 기업의 대졸 신입직원 평균 연봉은 3817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차순위는 △3500만~4000만원 미만 기업·34.9% △4000만~4500만원 미만·23.4% △3000만~3500만원 미만·23.0% 등이었다.

한편 기업들은 올해부터 시행되는 60세 정년 의무화를 적용받게 되는 50대 장년 근로자들에 대해서는 '기존 업무 및 직책을 유지(52.2%)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본인의 전문분야에서 전문·자문위원 등의 역할을 수행할 것(22.5%)' '후배들에게 보직을 넘기고 팀원으로 근무(12.9%)' 등이 뒤따랐다.

정년 연장으로 인한 임금피크제를 이미 도입한 기업은 57.4%, 도입 계획이 있는 곳은 22.5%였으며, 임금피크제를 적용하는 연령은 평균 56.6세였다.

이번 조사결과에 대해 송원근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본부장은 "국내외 경기상황 악화로 아직도 채용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기업이 절반이나 되고, 작년보다 신입직원을 많이 뽑는다고 밝힌 곳이 9.1%에 불과해 상반기 대졸 취업난이 우려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