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윤장현 광주시장의 우유부단함이 시 공무원들 사이의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광주시 공무원노동조합은 상급단체 가입에 관한 조합원의 의견을 묻기위해 9일부터 11일까지 투표 총회를 진행 중이다.
이런 가운데 행정자치부가 광주시 공무원노동조합의 '전국공무원노조 투표'를 '불법'으로 규정, 이 같은 내용을 각 실·과에 수차례 통보한 것으로 알려져 반발을 사고 있다.
여기 더해 시민시장을 자처하고 있는 윤장현 시장이 관련 사안에 대한 의견 표명를 번복해 질타를 자처하고 있다.
노조 총투표를 하루 앞둔 지난 8일 윤 시장은 과장급 이상 간부 80여명을 참석시켜 노조 현안 관련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윤 시장은 "법률가나 노무사 등의 자문과 내부 검토를 거친 결과, 노조의 전공노 가입 투표행위 자체를 원천 차단하는 것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 "2014년 발생했던 같은 사안에 대한 인권옴부즈맨의 법률적 의견과 전임 시장 재임 시절 근무시간 외 투표를 허용했던 전례 등에 비춰볼 때 원천차단은 무리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발언은 근무시간 이외 투표행위는 원천 차단할 법적 근거나 명분이 약한 만큼 '조건부 허용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됐다.
그러나 다음 날 윤 시장은 전혀 다른 의견을 밝혀 광주시를 발칵 뒤집어 놓았다.
윤 시장은 지난 9일 '공직자 여러분께 드리는 호소문'이라는 제목으로 내부통신망에 올린 글을 통해 "중차대한 시기에 총투표를 둘러싸고 너무 많은 갈등을 겪고 있어 공직 내부 분열과 후유증이 우려된다"며 "광주와 시민의 뜻을 깊이 헤아려 (노조원들이) 지혜롭게 판단해 주길 간곡히 부탁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합법적 테두리 안에서의 노조활동은 적극 지지한다"면서도 "지금 이대로 가면 공직자 여러분도, 광주시도 상처를 입고, 잃을 것이 너무 많다. 다시 한 번 광주와 시민의 뜻을 깊이 헤아려 무엇이 진정 도움이 되는 일인지, 지혜롭게 판단해 달라"고 당부했다.
하루아침에 태도가 돌변한 윤 시장의 행보는 혼선을 가중시켰다.
광주시가 오락가락 하는 와중에 행자부는 전공노 투표를 강행한 강승환 시 노조위원장 등 노조간부 4명을 형사고발했고 시에 징계를 요구하기도 했다. 게다가 단순 투표 참여자까지 고발하겠다는 방침이다.
광주시는 이날 오전 6시50분부터 시청 출입문 중 일부만 개방해 시민들의 출입을 통제, 일부 노조 관계자들과 시 관계자들 사이에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노조는 전공노 가입을 위한 투표를 오는 11일 오후 7시까지 업무시간 외에 진행하기로 하고 투표소는 시청 1층 로비와 지하 1~2층, 노조사무실 등 4곳에 마련했다.
노조는 "광주시는 직원들의 점심시간과 퇴근시간을 제한하고, 투표현장에 행자부 직원을 투입해 투표를 방해하고 있다"며 "직원들 사이에는 '노조 투표에 참여한 사람은 시에서 징계하겠다'는 내용의 소문까지 돌고 있다"고 설명했다.
투표소 주위에는 행정지원과 직원들과 행자부 직원들이 감시를 하고 있다. 점심시간에는 직원들을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고 배달음식을 시켜먹으라고 한 탓에 시청 인근 배달음식 품귀현상이 벌어졌다.
또 시는 청사 방송을 통해 오후 5시 이후 청사의 모든 출입문을 통제하고 출입자는 신분확인 후 허가한다는 냉용을 공표했다. 급기야 10일 오전 6시25분부터 시청 출입문이 봉쇄됐다.
노조는 10일 오전 광주시의회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장현 광주시장을 규탄했다.
노조는 성명에서 "시청을 방문한 일반시민은 마치 범죄자처럼 취급을 받으며 출입을 금지 당했다. 시민이 내 집처럼 이용할 수 있는 시청을 만들겠다는 윤 시장의 약속은 어디로 갔냐"고 개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