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경남도는 도시가스를 확대 보급해 어려운 계층에게 희망을 주는 복지경남 건설을 위한 도시가스 보급 계획을 수립했다.
이 방안의 일환으로 단독주택 및 소외지역의 도시가스 조기공급을 위해 도비 및 시군비 등 70억원을 확보, 단독주택 등 도내 7000가구에 도시가스를 보급하기로했다.
이번에 확보한 도비 10억원은 단독주택 등의 도시가스 공급을 위한 공급관 설치 및 수요가부담 시설분담금 등 시군의 여건에 맞게 사용토록 했다.
도시가스는 LP가스에 비해 비교적 안전하고 연료비가 저렴하기는 하나 도시가스 공급배관 설치에 따른 초기 투자비가 높아 단독주택 등 저소득층의 보급률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실정이다.
경남도는 2019년까지 총 2484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총 24만8000가구에 도시가스를 확대 보급함으로써 도시가스 보급률을 2014년 63.7%에서 2019년 74.1%까지 확대하는 도시가스 보급 확대 5개년 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도내에는 창원 등 14개 시군에서 도시가스를 공급받고 있으며,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인 하동군은 올 12월에 탱크로리 방식을 통해 도시가스를 공급받게 된다.
지난해 제12차 천연가스 수급계획에 포함된 산청 및 합천군은 올해 상반기 중 도시가스 사업자를 선정하고 한국가스공사와 협의해 2019년 도시가스 공급 차질이 없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최만림 경남도 미래산업본부장은 "단독주택 등 소외지역에 대해 지속적인 도비 지원은 물론 전 시군 및 도시가스사로 하여금 최대한 투자를 많이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도시가스 보급 확대를 통한 연료비 절감과 안전한 도시가스 사용을 통해 도민의 피부에 와 닿는 최상의 에너지 복지서비스 제공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