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상청, 국립환경과학원과 함께 '식중독 예측지도'를 개발, 2일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홈페이지 '건강iN'을 통해 지원하는 식중독 예측지도는 건강보험 빅데이터와 식중독 발생 정보, 기상·환경정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빅데이터 등을 융합한 것이다. 누구나 알기 쉽게 지역별 발생 위험정보를 시각화해 지도형태로 보여준다.
식중독 예측지도 주요 서비스는 시·군·구 단위로 당일 기준 2일 후까지 식중독 발생 위험 정보다. 관심·주의·경고·위험 4단계로 구분해 단계별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요령도 제공한다.
또한, 지난 식중독 발생 정보를 분석해 월별로 많이 발생한 시설·원인균에 대한 정보와 실시간 기상정보, 같은 시기 SNS 통계를 선보인다.
이번 서비스를 위해 공단과 식약처, 기상청,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해 1월 식중독 발생 예측모델 공동개발을 결정하고 그해 12월 개발을 완료했다.
신순애 공단 빅데이터운영실장은 "그간 질병 발생과 확산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국민건강 알람서비스로 감기, 눈병, 피부염, 천식에 대한 지역별 위험도를 제공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민 중심 건강서비스를 발굴해 선제 질병 예방활동을 지속해서 펼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