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기자수첩] 아파트 내 전기차 충전소 설치 갈등, RFID식 해법을…

임혜현 기자 기자  2016.03.02 10:30:39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전기자동차 확산이 좀처럼 쉽지 않아 보인다. 여러 배경 요인이 있겠으나, 가장 중요한 '밥 문제' 즉 충전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속시원한 인프라 구축을 하지 못하는 사정이 첫손에 꼽힌다는 느낌이다.

당장 차를 달리게 할 동력을 어떻게 채우는가는 사람으로 따지면 밥을 먹이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런 불편부터 해소하지 못한다면 전기차 이슈는 확산은 고사하고 아예 뿌리부터 흔들릴 수밖에 없다.

선진국들이 전기차 보급 문제에서 앞서 가는 것과 달리 우리는 보급률 하위권에 머물렀다. 이런 때 아파트 등 공동주택 단지 안에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점은 뼈아프다. 일산 위시티자이 등 몇몇 앞서가는 아파트 단지에서는 전기차 충전시설이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설치가 안 돼 있다.

일부 주민들이 장차 설치 문제를 타진해도 대부분의 주민들이 거부감을 보여 추진이 난망하다. 사실 아파트 단지 내에 이런 충전시설을 설치하자는 데 불만을 표하는 주민들의 생각도 일리가 있다. 우선 공간을 차지할 뿐더러, 설치에 드는 비용과 전기세 등을 공동 부담할 것이라는 우려 또한 작용한다.

이런 점은 전기차 확산 이슈에 당국과 기업들이 얼마나 등한시하고 있는가를 방증한다. 친환경 수단인 전기차가 석유 사용 자동차가 근간을 이루는 현재의 교통 패러다임을 바꾸고 근원적 문제들을 해결할 것임에는 이견이 거의 없다.

더욱이 정부도 큰 관심을 갖고 있고 기업들도 차세대 먹거리로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면서도 기저에서부터 기초적인 불만과 의혹조차 해결하지 못하고 있어 발목을 잡히는 셈이다.

심지어 음식물 쓰레기도 버린 만큼 값을 매겨 세밀히 처리하는 상황에서 왜 일부 세대에서 쓰는 전기차의 충전 비용을 전체 아파트 거주 세대가 공동으로 나눠 부담한다는 소리가 해결되지 못하는지 답답하다.

강원도 춘천시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에 따라 요금을 지불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인식) 종량제'에 초점을 맞춘 바를 우리는 안다. 

춘천시는 일찍이 RFID 종량제를 지역 내 아파트의 20% 정도에 해당하는 다수 단지에서 실시하는 과감성으로 주목받았다. 이 제도 활용에 박차를 가하는 지자체의 열의에 더해 실질적으로 합리적 돈계산이라는 경험담이 퍼져 주민 반응도 좋은 편이다.

이런 방식을 공용 충전기의 과금에 도입하고 그 활용을 도모하는 것이 과연 발달된 우리 한국의 과학기술에 비춰볼 때 그렇게 어려운 것인지 궁금하다. 기업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제품기술을 내놓도록 연구개발을 정책 당국이 독려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