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우리나라 수출 부진은 경기적 요인 외에도 금융위기 이후 세계교역 신장률이 낮아지는 가운데 글로벌 공급사슬의 변화, 중국경제의 둔화 등 구조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24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주재로 열린 '2월 경제동향 간담회'에서 학계 및 경제전문가들은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수출 부진에 대응해 향후 우리나라의 산업구조가 세계 수요의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변화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도 나왔다.
최근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외채구조 개선, 외환보유액 확충 등 우리나라의 기초여건은 건실함에 따라 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데도 공감했다.
일부 참가자는 "향후 상당기간 높은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자본유출, 가계부채 등 금융안정성 유지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됐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경제동향 간담회에는 △김극수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장 △송기석 BOA 메릴린치 전무 △신관호 고려대 교수 △장재철 씨티그룹 상무 △정성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거시금융본부장 △홍기석 이화여대 교수 등 금융·경제 전문가들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