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이화 기자 기자 2016.02.22 15:47:24
[프라임경제] 종전 북한 핵실험·미사일 발사 이후, 남한에선 사이버테러가 발생돼 왔다. 4차 핵실험 후인 지난 1월13일에는 청와대를 사칭한 해킹 메일이 대량 유포, 지난 2월11일 경찰이 해킹 공격자를 북한 해커 조직으로 결론지었다.
이에 따라 북한 사이버테러에 대한 위기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지난해 8월20일 정부는 북한의 서부전선 포격 관련, 북한의 대남(對南) 사이버 도발에 대비해 사이버위협 '관심' 경보를 발령했다.
현재는 한 계단 오른 '주의' 경보 상황. 북한의 4차 핵실험·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개성공단 운영 중단 등 남북관계 긴장 태세에 정부는 지난 11일 사이버위협 경보 단계를 격상시켰다.
사이버위협 경보 단계는 ‘정상→관심→주의→경계→심각’으로 구분된다.
이 중 세 번째 '주의' 단계는 △웜·바이러스, 해킹 등으로 국지적 피해 발생 △국지적 인터넷 소통장애 △인터넷 관련 서비스에 장애 발생 또는 매우 우려되는 경우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인터넷데이터센터(IDC), 일반 사용자, 기업 등의 긴급대응·보안태세 강화가 필요한 상태에 발령된다.
이처럼 정부가 사이버테러에 대응 태세를 강화하는 까닭은 북한의 2차, 3차 핵실험 후 사이버테러가 이어졌기 때문.
북한은 2009년 5월 2차 핵실험 이후 7월7일 분산서비스거부(디도스) 공격을, 2013년 2월 3차 핵실험 뒤에도 3월20일과 6월25일 두 차례에 걸쳐 금융사·언론사에 사이버테러를 감행했다.
이를 감안,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 장관은 21일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을 방문해 사이버안보 공조 대응태세를 점검했다.
최 장관은 "최근 북한의 핵실험, 미사일 발사 등 잇따른 도발로 남북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 사이버공격 등 비군사적 도발 가능성도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진단, 미래부·인터넷침해대응센터와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이 긴밀한 공조태세를 갖출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도 같은 날 상암동에 위치한 LG유플러스 전국망관리센터를 찾아 보안관제센터 등 주요 시설을 둘러보고, 휴대폰 본인확인서비스 시스템 관리·운영 실태를 점검했다.
최 위원장은 "이동통신사이자 휴대폰 본인확인기관인 LG유플러스는 지난 1월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된 매우 중요한 기관"이라며 "국가안보 상황에서 보안을 더욱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일에는 미래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백기승)이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 142곳에 대해 긴급 보안 점검을 진행하는 등 정부는 사이버테러 방어벽을 세워나가는 모습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사이버테러에 대응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보안 기술개발, 인력 배출 등 정보보호강국이 되는 것과 단기적으로 정보통신 기반시설을 점검하고 사고를 즉각 확인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사이버테러 주요 경로는 불법 다운로드나 '알 수 없는 출처'를 통한 콘텐츠"라며 "개인차원에서도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 웹브라우저와 한글 등 프로그램 업데이트, 백신 설치·업데이트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이버테러 관련 이상 조짐이 발견되면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홈페이지 또는 118센터(국번 없이 118)로 신고해 주길 바란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