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자식 직업? 부모 직업이 영향 미친다"

소득 높을수록 자녀 진로 개입↑

김경태 기자 기자  2016.02.22 15:59:46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최근 '수저계급론'이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부모 직업에 따라 자녀의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칠 확률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대표 최인녕)이 만 19세 이상 35세 이하 청년 1183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직업별 자녀의 진로에 대한 개입도의 상관성을 10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 부모가 가진 직업에 따라 자녀들의 진로 설정에 개입하는 수준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직업을 전체 13개 직군으로 분류한 이번 조사에서, 자녀 진로개입도가 가장 큰 직업군은 교사·교수 등 '교육직'으로 평균 5.41점의 개입도를 보여 전체 부모의 평균 개입도인 4.45보다 21.5% 높은 수준이었다. 

특히 교육직은 자녀 진로 개입 수준에 7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준 비율이 30%로 10명 중 4명이 상당한 수준의 개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교육 현장에 몸담고 있는 만큼 현실에 대한 체감도가 높았고, 전문적인 진로 설정 및 관여할 수 있는 환경이 잘 조성돼 있기 때문이다. 

교육직에 이어 △고소득 자영업자 5.24점 △사무직 5.07점 △고용주 4.71점 △공무원 4.65점 △전문관리직 4.43점 △의사·변호사·예술가 등 전문직 4.28점 △서비스직 4.25점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반면 △저소득 자영업자 4.19점 △무직 4.16점 △기계·기능·장치 등 숙련노동자 3.99점 △농어업 3.8점 △단순노무직 3.69점으로 자녀의 진로에 개입하지 않고 있었다. 

알바천국 관계자는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금수저론처럼 소득과 지위가 높고 안정적인 직업을 가질수록 자녀의 진로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이 실제 조사로서 나타난 결과"라며 "부모의 직업 수준에 따라 청년들의 직업 인식과 사회 출발선이 달라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을 엿보게 하는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