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배 기자 기자 2016.02.22 12:12:49
[프라임경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21일(현지시각) 세계 최대 모바일 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6(이하 MWC 2016)'에서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S7' 시리즈와 'G5'를 각각 공개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 삼성전자는 스마트폰을 비롯해 가상현실(VR) 분야 집중 육성 계획을 밝혔고, LG전자는 스마트폰과 주변기기를 분리하고 연결할 수 있는 신제품에 승부수를 던졌다.
◆삼성전자 "한계를 넘어"…세계인 관심집중
삼성전자가 공개한 스마트폰 '갤럭시S7'와 '갤럭시 S7 엣지'는 메탈·글래스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여 더욱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선보였다.
특히 '갤럭시 S7 엣지'는 전후면 모두 커브드 글래스를 적용해 곡선미를 더욱 강조했고, 5.5형의 대화면에도 불구하고 베젤은 더욱 얇아지고 디자인도 보다 콤팩트해졌다.
'갤럭시S7'·'갤럭시 S7 엣지’는 방수·방진 최고 규격인 IP68 등급을 적용해 먼지와 물의 유입으로부터 최고 수준의 보호가 가능하며 USB 단자 및 이어폰잭 등 개별부품을 포함한 스마트폰 전체 구조에 방수기능을 탑재해 USB 커버가 없이도 방수가 가능하다.
이번 신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최고급 DSLR에 사용되는 최신기술인 듀얼 픽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해, 어두운 곳에서도 밝고 선명한 사진을 빠르게 촬영 가능하다는데 있다.
피사체를 담는 이미지 픽셀을 두 개로 구성한 '듀얼 픽셀'은 이미지와 위상차를 동시에 측정해 어두운 곳에서도 빠르게 오토포커스를 맞추는 동시에 밝고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기술로, 삼성전자는 세계최초로 이 기술을 스마트폰에 적용했다.
또 '갤럭시S7'·'갤럭시 S7 엣지'의 전면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와 동일한 F1.7의 밝은 렌즈를 탑재해 빛이 부족한 어두운 환경에서도 밝고 선명한 셀피 촬영이 가능하고, 5.1형, 5.5형의 대화면을 광원으로 활용하는 '셀피 플래시' 기능도 탑재해 소비자들은 자신의 얼굴을 더욱 화사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어 '갤럭시S7'ㆍ'갤럭시 S7 엣지'는 파노라마 샷을 촬영하는 동안 피사체의 움직임까지 기록할 수 있는 '모션 파노라마 샷'을 새롭게 탑재하고 사진에서도 동영상과 같은 생생함을 담을 수 있도록 했다.
오랜 시간 동안 촬영한 영상을 압축해 짧은 시간에 보여주는 '하이퍼 랩스 (Hyperlapse)' 기술도 탑재했다.
'하이퍼 랩스 (Hyperlapse)'는 촬영 장면의 움직임이 단조로우면 촬영 속도를 자동으로 빠르게 하고 복잡할 경우 천천히 조절해 일반인도 누구나 타임 랩스 영상을 쉽게 촬영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갤럭시S7'·'갤럭시 S7 엣지'의 콤팩트한 디자인을 보다 강조하면서도 전작 대비 배터리 용량과 사용 시간을 늘렸다.
'갤럭시 S7'은 '갤럭시 S6'(2550mAh)보다 배터리 용량을 18% 늘린 3000mAh 배터리를 탑재했으며, '갤럭시 S7 엣지'는 '갤럭시 S6 엣지'(2600mAh) 보다 38% 늘어난 3600mAh 배터리를 채용했다. 두 모델은 모두 유·무선 고속 충전이 가능하다.
'갤럭시S7'·'갤럭시 S7 엣지'는 최대 200G용량의 마이크로 SD카드와 심(SIM)카드를 모두 탑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심(SIM) 카드 트레이도 적용했다.
삼성전자는 모바일 게임 시장의 빠른 성장과 고사양 게임 콘텐츠의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갤럭시S7'·'갤럭시 S7 엣지'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게임에 보다 최적화해 소비자들에게 최고 수준의 게임 성능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갤럭시S7'·'갤럭시 S7 엣지'는 게임을 위한 다양한 편의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론처(Game Launcher)'와 '게임 툴즈(Game Tools)'를 탑재했다.
'게임 론처(Game Launcher)'는 스마트폰에 설치한 게임을 자동으로 모아 폴더로 구성해 보다 빠른 실행을 가능하게 하며, 배터리 세이브, 방해금지모드 등의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게임 툴즈(Game Tools)'는 실시간 화면의 캡처와 녹화뿐만 아니라 게임 최소화, 게임 중 방해 금지, 터치키 잠금 등을 함께 제공한다.
또 '갤럭시S7'·'갤럭시 S7 엣지'는 스마트폰 업계 최초로 모바일, PC, 콘솔(Console) 등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통합 차세대 표준 그래픽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불칸(Vulkan)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게임 실행 시 그래픽 성능 향상과 효율 극대화가 이뤄져 고사양의 게임도 부드럽게 실행되며, 배터리도 적게 소모된다.
'갤럭시 S7'·'갤럭시 S7 엣지'는 고급스러우면서도 세련된 글래스의 느낌을 보여주는 블랙오닉스·골드플래티넘·화이트펄·실버티타늄 등 4가지 색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은 "모바일 업계에 중요한 변곡점인 지금,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이를 둘러싼 다양한 제품과 콘텐츠, 서비스를 통해 종합적인 경험과 가치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유용성·심미성 '풀 메탈 디자인' 도전장
LG전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라인업 'G 시리즈'의 5번째 모델인 'G5'는 마치 손안의 테마파크 같은 제품이다.
'G5'는 세계 최초로 '모듈 방식(Modular Type)'을 적용한 스마트폰으로 다양한 프렌즈(디바이스)와 연결해 고객들에게 상상하지 못했던 즐거운 경험을 제공한다.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결합 및 유무선 연결을 통한 '모바일 에코시스템'을 구축한 것.
'G5'의 '모듈 방식'은 매직슬롯 디자인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 하단부에 위치한 '기본 모듈'을 서랍처럼 당겨서 분리, 교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분리한 '기본 모듈' 대신 'LG 캠 플러스' 또는 'LG 하이파이 플러스' 같은 '확장 모듈'을 물리적으로 결합해 사용 가능하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이상의 카메라와 사운드 기능을 경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릴 적 합체로봇 같은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듯한 재미도 느낄 수 있게 됐다.
LG전자의 'G5'는 착탈식 배터리의 유용성과 풀 메탈 디자인의 심미성까지 모두 갖췄다.
'G5'에 금속 표면을 처리하는 '마이크로 다이징(Micro-Dizing)' 기법을 적용했다. '마이크로 다이징'은 아주 작은 크기의 컬러 입자를 금속 표면에 부착하는 공법으로, 메탈 고유의 고급스러움을 살리면서도 다양한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LG전자는 실버, 티탄, 골드, 핑크 등 4가지 세련된 색상을 구현했을 뿐 아니라, 안테나선이 보이지 않는 깔끔한 디자인까지 완성했다. 일반적인 메탈 스마트폰의 경우 수신률 저하, 전파간섭 등의 문제로 띠 형태의 안테나선이 스마트폰 표면에 드러나 있다.
특히, 'G5'는 후면의 테두리 부분에 '샤이니 컷(Shiny Cut)'을 적용, 메탈 디자인의 미려함을 더했다. '샤이니 컷'은 메탈을 깎아낼 때 절단면을 평면이 아닌 오목한 형상으로 만드는 공법이다. 오목거울처럼 빛이 다양한 각도로 반사돼 사용자는 어느 위치에서나 빛나는 'G5'를 볼 수 있다.
또, 'G5'는 전면 상단 베젤 부분을 곡면으로 마감한 '3D 곡면 글래스(3D Arc Glass)'를 적용, 입체감을 높였다. 후면은 양측면 가장자리가 부드럽게 휘어져 손에 잡는 그립감도 뛰어나다.
아울러 LG전자는 'G5'의 후면에 각각 135도와 78도의 화각을 지닌 2개의 카메라를 탑재했다. 'G5'에 탑재된 135도 광각 카메라는 스마트폰 내장형 카메라로는 세계 최대 화각이며 일반 스마트폰 카메라보다 약 1.7배 넓게 촬영 할 수 있다.
특히, 광각 렌즈는 풍경 촬영에 탁월해 일명 '풍경 렌즈'라고도 불린다. 기존 스마트폰 카메라보다 같은 거리에서 더 넓은 배경을 담을 수 있어 광활하게 펼쳐진 자연 풍경 등을 찍을 때 유리하다.
LG전자는 'G4'부터 적용해온 '카메라 전문가 모드'도 'G5'에 탑재하고 카메라 관련 UX도 대폭 강화했다.
'G5'에 '줌인앤아웃(Zoom in&out)' 기능을 추가,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광각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줌인앤아웃'은 줌아웃 시 78도의 일반 카메라 화각을 넘어서면, 광각카메라 모드로 자동 전환돼 135도의 화각까지 볼 수 있는 기능이다.
또 다른 기능인 '팝아웃 픽처(Pop-out Picture)'는 2개의 후면 카메라로 동시에 촬영한 사진을 한 화면에 겹쳐 보여준다. 사용자는 광각 카메라로 찍은 부분을 흐리거나 흑백으로 만들어, 일반각으로 찍은 장면이 마치 액자 안에 있는 듯한 색다른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오토 셀피(Auto Selfie)'는 셀피 촬영 시 사용자가 별도의 버튼을 누르거나 특정 제스처를 취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해 자동으로 촬영하는 기능으로, 스마트폰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한 후 화면의 움직임이 없으면 1초 뒤 자동 촬영된다.
한편, LG전자는 5.3인치 'IPS 퀀텀 QHD 디스플레이'에 '올웨이즈온(Always-on)' 기능을 구현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G5'의 올웨이즈온 화면은 가로 27.5mm, 세로 31.1mm의 직사각형 크기로 ‘V10’의 ‘세컨드 스크린’ 면적보다 2배 이상 커 가독성이 뛰어나다.
'올웨이즈온'은 화면이 꺼져 있어도 시간, 요일, 날짜, 배터리 상태 등 기본 정보는 물론 문자, SNS 등의 알림 정보를 24시간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준다.
단순히 시간, 날짜 등을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 화면을 켜는 횟수가 하루 150회가 넘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불필요하게 스마트폰 화면을 켜고 끄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조준호 LG전자 MC사업본부 사장은 "LG전자는 스마트폰 스크린 속에 갇힌 본질적인 즐거움을 소비자에게 돌려줌으로써 LG 모바일만의 팬덤 문화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