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경기도, 국가안전대진단 맞아 시설물 집중점검 나서

시·군 및 민간전문가 등 참여 범도민 안전점검 실시

김호성 기자 기자  2016.02.19 15:08:46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국민안전처의 2016년 국가안전대진단 세부 추진내용이 발표됐다. 추진내용을 보면 진단방법의 효율화을 위해 위험도에 따라 점검을 차별화했다.

위험시설은 교량, 대형건축물, 급경사지 등의 시설 중 C, D, E등급 시설, 위험물 관리시설, 안전 사각지대 시설, 해빙기 시설 등으로 전수 민관합동점검을 실시한다 

일반시설은 위험시설 이외의 시설(A·B 등급, 기타시설)로서 대진단 기간 동안 시설 소유자 자체점검을 실시하고 표본을 선정(10% 내외)해 민관합동점검을 실시한다.

계절적 특성으로 대진단 기간 동안 실질적 점검이 곤란한 분야는 적정한 해당 시기에 점검한다.

이와 관련해 2016 국가안전대진단을 맞아 경기도(도지사 남경필)는 4월30일까지 시설물, 건축물, 공작물 및 운송수단, 해빙기 점검시설, 사각지대, 위험물 유해화학물, 기타 등 7개 분야에 대한 집중 점검에 나선다.

도는 재난안전본부장을 단장으로 지역안전관리추진단을 구성해 도, 시·군 및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범도민 안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주요 7개 점검분야는 △상하수도, 하천, 댐, 교량 등 시설물 분야 △복합건축물, 공동주택, 판매시설, 전통시장, 의료시설 등 건축물 분야 △스키장, 유원시설, 여객선, 유도선, 대형광고물 등 공작물 및 운송수단 분야 △절토사지, 옹벽, 산사태 위험 및 급경사지 등 해빙기 점검시설 △고시원, 지하도상가, 중단된 공사장, 요양병원 등 사각지대 분야 △주유소 및 가스시설, 위험물제조소, 화약류저장소 등 위험물 유해화학물 분야 △전기시설, 대형공사장, 어린이 집단급식, 문화재시설 등 기타 분야다.

도는 점검결과 현장에서 해결이 가능한 사항은 즉시 시정조치하고 보수·보강이 시급한 사항은 자체 가용 자원을 활용해 빠른 시일 내에 개선하도록 할 계획이다. 추가 진단이 필요한 사항은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게 된다.

국가안전대진단은 도민 참여형 안전진단으로 누구든지 '안전신문고' 웹과 스마트폰 앱을 통한 안전신고 또는 제안으로 손쉽게 참여할 수 있다. 도로 노면 파임, 안전휀스 파손, 불법 현수막, 옹벽 붕괴 위험 등 불안요소가 발견되면 즉시 신고하면 된다.

김정훈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올해 국가안전대진단은 캠핑장, 공사장, 요양병원 등 사각지대에 대한 집중점검이 이뤄지도록 하겠다"면서 "많은 도민들이 참여해 안전하고 따뜻한 경기도를 만들 수 있도록 실질적인 안전대진단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