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국인 10명 중 4명은 주택가격 상승을 전망하고 있으며, 주택구입 의향이 있는 가구 중 절반가량이 3년 이내 구입할 뜻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힌국주택금융공사(HF·김재천 사장) 주택금융연구원은 전국 일반가구 5000가구와 보금자리론 등 공사 주택담보대출상품을 이용하는 2000가구를 대상으로 '2015년 주택금융 및 보금자리론 수요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18일 밝혔다.
5000가구 중 40.9%가 1년 후 우리나라 주택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대비 3.2%가 오른 것으로 지난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또한 전년대비 21.7%상승한 38.8%가 주택가격이 지금과 비슷할 것이라고 답변해 최근 3년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는 예상은 △20대 56.6% △무주택가구 44.8% △서울거주 40.3% 순이다.
3년 이내 주택구입을 원하는 가구는 49.5%로 전년대비 3% 상승했으며 40대 가구주 구입의향이 증가 했다. 이 가구들은 평균3억458만원에 주택을 매입하고 싶어 하며, 서울에 있는 주택을 구입할 경우 평균 4억2634만원을 지불할 의향을 보였다.
2012년 이후 구입의향 주택가격은 지속적 상승세를 보여 △2012년 2억6388만원 △2013년 2억7807만원 △2014년 2억8544만원 △2015년 3억458만원을 기록했다.
주택구입의향가구가 선호하는 주택면적은 85㎡ 초과~135㎡ 이하가 52.7%로 가장 많았으며 85㎡ 이하는 37.8%를 차지했다.
평균 주택담보대출금액은 1억565만원이며 주택담보대출 이용가구 84.6%는 대출금액이 충분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이용가구 월평균 상환금액은 62만원이었으며 대출시 설정한 기간은 △30년 23.7% △20년 18.7% △10년 16.9% 순이다.
한편, 주택담보대출 이용의향이 있는 일반가구 1802가구 중 56.7%에 해당하는 가구가 고정 금리를 선택할 것으로 응답했다. 이는 전년대비 3.2% 증가한 것으로 금리상승 시에도 대출금리가 오르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대출을 이용할 경우 적정한 소득대비 월 상환금액 비율을 조사한 결과 평균16.3%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이용의향가구는 평균 1억3360만원의 대출을 원해 전년대비 1478만원 증가했다. 이 가구들이 원하는 상환방식은 △원리금 균등분할상환46.7% △원금균등분할상환 40.5% 순이다.
전세를 원하는 가구 임차의향 보증금은 평균 1억5666만원이며, 2억원 이상인 비율은 31.3%로 전년대비 2.7% 증가했다. 이 가구들이 원하는 주택면적은 전용면적 85㎡ 이하가 69.4%로 가장 많았다. 전세자금 1건당 평균대출 금액은 5927만원으로 전년대비 1236만원 올랐다.
현재 전월세 거주 일반가구 1948가구 중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비율은 12.8%이며, 이들이 공공임대주택을 선택한 주요 이유는 낮은 전월세금 수준과 장기간 주거 안정성 보장으로 조사됐다.
특히 앞으로도 공공임대주택 전월세 계약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향률이 82.0%로 높게 나타나 무주택 저소득층 주거안정을 위해 공공임대주택 등 주택공급 확대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