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대학생 10명 중 6명 "난 티슈인턴"

'잡무담당·무시'…부정적 신조어 확산 원인

추민선 기자 기자  2016.02.18 09:28:32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NCS 전형, 직무역량 평가 등 2016년 취업 시장에서 직무중심채용이 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인턴근무가 중요한 스펙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인턴스펙 부각과 함께 티슈인턴, 부장인턴 등 인턴과 관련된 부정적인 신조어도 나타나고 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는 최근 대학생 301명에게 '티슈인턴·부장인턴 등 인턴 관련 신조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먼저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에게 인턴근무 경험이 있는지 물었다. 그러자 54.5%는 인턴근무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턴 근무를 했던 기업으로는(복수응답) 중견기업(36.0%)이 가장 많았으며, 인턴근무 기간은 6개월~1년 미만(43.3%)이 가장 많았다.

'티슈인턴, 부장인턴이란 용어를 아는지' 묻자, 응답자 53.2%가 '안다'고 답했다. 이들은 해당 용어를 △TV·인터넷 뉴스(40.0%) △인터넷 취업 커뮤니티(38.1%) △책·잡지 등의 인쇄물(11.3%) 등을 통해 접하고 있었다.

또한 인턴근무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에게 스스로 티슈인턴이라 생각하는지 질문한 결과 64.0%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아니다'고 답한 응답자는 36.0%에 그쳤다.

이들이 스스로 티슈인턴이라 생각하는 이유로는(복수응답) '인턴기간 동안 아르바이트와 다름없는 잡무만 담당해서'라는 답변이 48.6%로 가장 높았다. '인턴기간 동안 배려 없이 무시와 차별을 당해서(43.8%)' '기간이 끝난 후 정규직으로 전환되지 않아서(28.6%)'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스스로 부장인턴이라 생각하는지 묻자, 42.1%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들은 '인턴 근무 기간이 길어 인턴이 직업같이 느껴져서(52.2%)' '주변 사람들 중 가장 오랜 기간 인턴 근무를 해서(36.2%)' 등의 이유로 스스로를 부장인턴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아울러 설문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71.8%는 부장인턴, 티슈인턴 용어가 확산될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확산되지 않을 것이라 답한 응답자는 28.2%에 그쳤다.

부장인턴·티슈인턴 용어가 확산될 것이라 생각하는 이유로는(복수응답) '극심한 취업난이 지속될 것이기 때문에'라는 답변이 50.9%로 가장 높았다.

이어 '암울한 취업시장을 잘 반영한 단어이기 때문에(47.2%)' '전문용어로 사용될 것 같아서(34.3%)'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확산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는 이유로는(복수응답) △한순간 지나가는 취업시장 트렌드이기 때문에(44.7%) △현 상황에 비해 과장된 용어이기 때문에(29.4%) △인턴 보호 가이드라인 등 인턴 보호 정책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에(25.9%)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