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SK브로드밴드, CJ헬로비전 합병 청사진 공개

미디어 산업 발전 위한 '3대 추진 계획' 발표

이보배 기자 기자  2016.02.17 15:28:24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SK텔레콤(017670·사장 장동현)의 CJ헬로비전(037560·대표 김진석) 합병 이후 미디어 플랫폼 사업의 주체가 될 SK브로드밴드(033630·사장 이인찬)가 '3대 추진 계획'을 17일 공개했다.

이 계획은 △플랫폼 확대와 콘텐츠 지원 강화 △뉴미디어 플랫폼 연계 신기술 생태계 구축 △고품질 영상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투자 확대다.

이날 '제36회 T 개발자 포럼'에서 SK브로드밴드 이인찬 대표는 "합병으로 성장 엔진을 확보하고, 미디어·통신 융합기술 기반의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해 글로벌 미디어 산업 변화 속에서도 당당히 경쟁할 수 있는 미디어 플랫폼을 만들 것"이라며 합병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플랫폼 확대 따른 콘텐츠 다양성 강화

이 대표는 '3대 추진 계획'의 핵심으로, CJ헬로비전 합병 이후 미디어 플랫폼의 확대에 따른 실시간 채널과 콘텐츠의 지속 발굴에 나서는 것은 물론, 창의적 아이디어를 갖춘 콘텐츠 업체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겠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SK브로드밴드는 콘텐츠 펀드를 조성, 콘텐츠 육성 및 수익 재투자에 활용하는 방식으로 미디어 플랫폼과 콘텐츠 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계획이다.

이 밖에도 독립 제작사 전문 채널의 개국·운영의 지원 및 활성화 기여를 통한 콘텐츠 창출 및 산업 내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또 개인화 서비스와 멀티 스크린 서비스를 강화하고, 음성·핀테크 등을 접목시킨 융합형 서비스의 개발 등 고객의 이용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술 투자도 확대할 예정이다.

UHD와 같은 고화질 영상 전송 기술 고도화는 물론,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등 차세대 통신환경에서 적극 활용될 각종 기술들에 걸맞은 콘텐츠를 발굴하고 상용화해 고객들의 이용 편의를 대폭 증대시킨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안정적 네트워크에 더해 HDR 및 8K UHD 디바이스 출시와 더불어 고화질 영상 전송 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 고객들에게 지금껏 경험하지 못한 최상의 화질을 제공한다는 청사진이다.

특히, 이 대표는 "개발 및 상용화 과정에서 아이디어 기술력을 보유한 다양한 사업자들과 적극적인 협력을 추진해 플랫폼의 개방성을 강화시킬 것"이라고 약속했다.

◆고품질 영상 서비스 위한 인프라 투자 확대

이 대표는 또 "합병 이후 미국이나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뒤쳐진 케이블 방송 디지털화에도 적극 나서는 등 고품질 영상 서비스의 기반이 될 인프라 구축을 위한 대규모 투자에 나설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SK브로드밴드는 현재 50% 정도인 아날로그 방송의 디지털 전환율을 적극적 인프라 투자를 통해 향후 5년 내 9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인프라 구축과 함께 UHD 서비스를 본격 도입하고, 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면 고화질·고품질의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부연이다.

한편 '미디어 플랫폼'을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에는 SK브로드밴드 외에도 국내외에서 미디어 플랫폼 산업을 이끄는 주요 업체 관계자들이 포럼 발표자로 참가해 관련 생태계의 현황과 전망 등에 대해 폭넓게 확인하는 시간을 보냈다.

구글은 자회사인 유튜브의 뉴미디어 추진 전략을, SK텔레콤은 VR·AR 같은 신규 미디어 개발 전력과 최근 발표한 '초고화질 생방송 플랫폼'과 연계한 1인 미디어 시장의 성장 현황 등을 소개해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와 함께 멜론은 미디어 플랫폼에 따른 서비스 추진 전략, SK플래닛은 모바일 개인 방송 플랫폼인 '핫질(HOTZIL)' 서비스 현황을 공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미디어 플랫폼과 신규 기술들이 발표·시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