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겨울철의 계절적 특성에 따라 화재사고가 집중돼 안전문화조성과 자율안전관리를 위한 예방역량 강화 대책의 일환으로 매년 11월부터 익년 2월까지 겨울철 소방안전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불을 가까이 하는 계절이므로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불조심을 생활화 하지는 의미에서다. 실제
매년 화재건수는 증가하고 재산피해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또한 화재 양상도 복잡하고 대형화하는 상황이다. 이 중에서도 실화로 인한 화재는 사전에 충분히 예방할 수 있음에도 많이 발생한다. 순간의 작은 실수가 평생 잊지 못할 큰 상처로 남을 수 있다.
실화의 경우 조그마한 생활습관만 개선한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다. 지금부터라도 각 가정에서는 보일러의 연소상태, 연료배관 등을 꼼꼼히 살펴서 조금이라도 이상이 있으면 보일러 기사에게 점검을 받고 전열기구는 플러그 상태 및 코일의 발열을 확인 후 사용해야겠다.
또 외출하기 전에는 전기 플러그를 뽑아놓는 습관도 중요하다.
각 가정에서 현관 출입구 상단에 외출할 때 항상 볼 수 있도록 안전확인스티커를 붙여 가스렌지 불 위에 음식물을 올리고 외출하는 사례가 없도록 하자. 화재는 작은 것 가까운 곳에서 발생한다.
아울러 일정규모의 대형건물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스프링클러,연결살수설비 등 자동소화설비와는 별도로 연결송수관 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이 설비는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차에 연결해 소방대원이 직접 사용하는 중요하고 꼭 필요한 '소화활동 설비'다.
그런데, 이처럼 중요한 연결송수관 설비의 송수구 입구에 담배꽁초, 비닐봉지 등 각종 쓰레기를 넣어 유사 시 즉시 설비를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를 자주 본다. 건물 관계자는 송수구 입구에 쓰레기를 넣지 못하도록 혹은 동파 방지의 목적으로 비닐로 꽁꽁싸서 유리 테이프로 감아버린다.
연결송수구 안쪽에는 자동 드레인 밸브가 부착돼 설비 사용 후 송수구 안쪽의 물이 빠지므로 동파의 염려는 없다. 대형화재는 절대 방지해야 한다.
화재는 초기 5분 즉 골든타임이 최대 관건이다.
연결송수관처럼 유용한 설비가 있는데 활용하지 못한다면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송수구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닐 등을 제거해야 하므로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
소방공무원이 화재진압의 전문가이기는 하지만 아무리 유능한 소방관이라 해도 이런 경우는 당황 할 수밖에 없다.
부산해운대소방서 예방안전과 안전지도담당 염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