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우리나라가 신약개발 제약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한미약품이 그동안의 경험과 노하우로 앞장서고자 합니다. 앞으로 10년 정도만 지나면 한국이 전 세계 신약개발을 주도할 당당한 위치에 서 있을 것이라 확신하는 바입니다. 향후 협력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진정한 오픈이노베이션의 장이 되길 바랍니다."
이관순 한미약품 대표는 21일 서울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열린 '제1회 한미 오픈이노베이션 포럼' 개회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8조원 규모의 7개 신약 라이선스 계약으로 한국 제약산업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한미약품은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다양한 관점과 가능성을 수용, 경영방침을 확립할 방침이다.
단순히 새로운 파이프라인 발굴에 그치지 않고 한미약품의 경험과 노하우, 자본 공유를 통해 한국이 제약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바이오벤처와 연구기관 관계자 6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날 포럼은 '개방형 혁신을 통한 건강한 동반성장 생태계 구축' '개방형 혁신을 위한 연구기관 및 바이오텍의 노력'을 주제로 한 2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이동호 울산의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첫 번째 세션에서는 손지웅 한미약품 부사장과 김성훈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박영환 항암신약개발사업단 본부장, 이정규 브릿지바이오 대표가 각 기관과 업체의 신약개발 전략, 오픈이노베이션 활용 방안을 소개했다.
손 부사장은 "M&A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협력모델을 모색할 것"이라며 "다각적이고 전방위적인 개방형혁신 모델을 고민, 펀드조성도 계획 중"이라고 설명했다.
계속해서 "해당 포럼은 제약 분야 R&D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소통해 국내 연구환경 전반을 업그레이드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겠다는 취지로 기획하게 됐다"며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한미약품의 파이프라인을 탄탄하게 구축하는 한편, 산·학·연과 다양한 협업 방식도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미약품은 이번 포럼을 시작으로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신규 파이프라인 확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한미약품은 올해 신규로 추가한 △비만 △당뇨 △항암 △자가면역 분야의 7개 전임상 프로그램을 비롯해 복합신약을 포함, 총 29개 신약 파이프라인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