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경기와 물가 간 괴리현상이 공업제품, 공공요금 등 경기비(非)민감품목의 영향력 확대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 박성하, 최강욱 과장이 분석한 '물가지수 구성 항목별 경기민감도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12년 이후 경기 흐름과 물가상승 압력을 나타내는 근원인플레이션이 상반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나빠지면 물가도 내려가는 것이 정상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경기와 물가의 흐름이 엇갈리고 있다는 얘기다.
이 같은 현상에 조사팀은 "최근 경기와 물가 간의 괴리현상은 경기에 민감하지 않은 품목의 영향력이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근원물가지수 구성 품목 429개를 분석한 결과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품목은 △수입쇠고기 △전·월세 △빵·아이스크림 △자장면 △학원비 등 등 229개(56.1%)다. 비민감품목은 △국산쇠고기 △스마트폰 △담배 △소주 △학교급식비 △주차비 등 200개(43.9%)로 경기민감품목이 비중이 더 높았다.
그러나 여기에 가격요인을 반영해 지수화할 경우 물가상승률에 대한 경기비민감품목 지수의 기여율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경기비민감지수는 2001~2011년 30%대에서 2015년 60% 수준으로 상승했다.
이와 관련해 박성하 과장은 "이는 수입물가 등 대외적 요인으로 국내 경기흐름과의 관계가 약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경기비민감지수 가운데 공업제품의 경우 △글로벌 경쟁 △수입물가 영향 △담뱃값 인상 등으로 경기 흐름과의 관계가 약화됐다.
공공요금 관련 품목과 축산물·개인서비스 관련 품목은 △무상급식·보육제도 △정부의 미시적 물가대책 △한우 수급조절 정책 등으로 경기역행적 움직임이 강화됐다.
이에 대해 조사팀은 "앞으로도 경기 비민감품목의 물가에 대한 영향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확한 물가압력 판단을 위해서는 이를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이어 "글로벌화 진전 등으로 공업제품 등의 가격하락 추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공공요금 등 여타 경기 비민감품목으로 인해 물가지표가 경제의 기초여건으로부터 괴리되는 현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